동영상 콘텐츠, Live와 VOD의 동거

IPTV 가입자수가 600만 가구를 훌쩍 넘어가고,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N스크린향 pooq, tving 등의 앱이 보급되면서 동영상 유료 서비스의 접근성이 향상되고 보편화되고 있다. PC와 달리 스마트폰에서는 콘텐츠 유료 구매에 대한 사용자들의 거부감이 적고, 아이튠즈와 앱스토어 그리고 구글 플레이, T스토어, 네이버스토어 등의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유통 플랫폼의 등장으로 콘텐츠 판매가 일반화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 케이블SO, IPTV 사업자, VOD 콘텐츠 공급자들의 VOD 매출은 매년 급성장하고 있다.

사실 TV, 라디오만큼 디지털 시대에 역행하는 것도 없을 것이다. 정해진 시간에만 시청이 가능한데다 잠시 멈추고 이어서 볼 수도 없는 것이 TV, 라디오의 한계였다. 시공간 제약없이 필요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에 익숙한 디지털 세대에게 TV의 조작방식이나 접근성은 구닥다리 삐삐와 다를바가 없다.

하지만,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의 N스크린 시대를 맞이해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TV 이외의 스크린에서 TV 방송을 접할 수 있게 되면서 공간의 제약없이 방송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Live TV의 중계가 인터넷 기반으로 구성되어 채널 개수의 제한이 없고 인터넷 방송을 위한 Live 송출 시스템이 기존 TV 시스템보다 쉽다보니 TV에서 만날 수 있는 채널 외에 다양한 채널들을 만날 수 있다. 실제 pooq이나 다음TV의 Live 팟플레이어 앱에서는 기존 TV 편성표에서는 만날 수 없는 다양한 채널들이 Live로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한, IPTV를 똑똑하게 만들어주는 스마트TV 셋톱박스가 등장하며 피쳐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변화한 것처럼 TV 역시 혁신하고 있다. 6번, 7번, 11번 등의 번호로 된 채널을 통해서만 Live 방송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과 추천, 소셜 큐레이션, 위젯, 알람 메시지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TV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런 스마트해진 TV 환경에서 만날 수 있는 것은 단지 공중파나 케이블SO에서 송출하는 Live TV 뿐만 아니라 이미 방송된(혹은 방송되지 않은) 콘텐츠들이다. 이들 콘텐츠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기기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수익 창출을 꾀하고 있다. 즉, VOD 과금을 통한 유료화나 FOD(Free On Demand)를 통한 광고 BM을 구현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0년 전 구입한 40인치가 훌쩍 넘는 거실 TV 스크린은 켜지 않은지가 1년이 넘어간다. 1년전 구매한 22인치 LCD TV는 안방에서 잠자기 전에 1시간 가량 틀어두곤 한다. 방에 있는 9인치 TV는 PC로 인터넷하기가 외로울 때 외로움을 달래고자 켜두곤 한다. 그런데, 태블릿을 사용하게 되면서 이런 TV 스크린을 켜두는 시간은 반 이상 줄어든 것 같다. 태블릿을 들고 어디든 이동할 수 있다보니 거실 탁자, 식탁, PC가 놓여진 책상 위, 침대에서 무릎 위 어디서든 TV를 만날 수 있다.

이런 시청 행태는 비단 나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TV 시청 행태의 커다란 변화 2가지는 TV 시청 중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며 방송과 관련된 내용을 검색하거나 페북, 카톡 등을 통해 수다를 떠는 것과 TV가 아닌 스크린에서 방송을 시청하는 것이다. TV 이외의 스크린에서의 시청률은 TV 시청률에 집계되지 않다보니 TV에서의 본방의 시청률은 구조적으로 과거에 비해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또한, VOD의 보편화로 인하여 본방 시청수가 줄어들면서 주목받은 콘텐츠의 다시보기(VOD) 시청빈도는 더욱 높아지게 될 것이다. 이런 변화 속에서 second screen에서의 광고는 TV에서의 광고와 다른 것이 제공되는 것에 대해 광고주를 어떻게 케어할 것인지, 그 광고는 어떻게 TV 광고와 차별화를 꾀해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것인지가 방송사들의 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태블릿 등 에서 Live TV를 즐겨 보다보면 점차 VOD 시청 빈도가 높아지기 마련이다. 그 이유는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On Air와 VOD의 접근 경로가 특별히 차이가 없고 채널이 아닌 터치와 검색으로 콘텐츠에 접근하다보니 둘의 차이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차이가 있다면 On Air는 잠시 멈추거나 건너뛰는 등의 컨트롤이 불가능하다는 것과 광고가 중간중간 튀어나온다는 것이다.

이같은 체험의 변화로 예견해보건데, On air 방송을 시청하는 목적은 동시간대에 같은 장면을 보는 사용자들간에 수다를 떨거나, 해당 장면과 연관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함일 것이다. 이같은 니즈를 위한 Social TV 앱들이 GetGlue, 쏘티, Zeebox, TV gift 등이다. 이러한 앱들은 on Air로 TV를 시청하면서 Second Screen에서 시청 중인 방송과 연관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불특정 다수가 동시에 한 화면을 보도록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광고의 영향력을 붙잡아두는 역할을 할 것이다. 반면 VOD는 사용자가 광고 등에 방해받지 않고 오롯이 콘텐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되 사용자에게 과금하는 수익 모델로 자리잡아 갈 것이다.(일부 콘텐츠는 FOD로 공개되고 광고 수익 모델로 운영)

글 : 김지현
출처 : http://oojoo.tistory.com/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