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현실적 현실 Unrealistic Reality

_2013_05_29_08.19.56_

비현실적 현실 Unrealistic Reality

 
요세미티를 보고 든 느낌이다.
눈앞에 펼쳐지는 장엄하고 화려한 풍광들은 분명 ‘눈에 보이는’ 현실인데 마치 사진 속에서나 보는 장면인 듯했다. 위에서 아래로 사정없이 내리꼿는 폭포. 들어가고 나오는 원근감이 뚜렷한 하프돔. 세계에서 가장 큰 나무들끼리만 경연대회를 하는 것 같은 자이언트 세쿼이아 군락. 너무나 새파란 하늘이 ‘한’ 눈에 펼쳐진다. 이 중 하나만 있어도 ‘세계적 관광명소’인 것을 이 모든 것이 한눈에 들어온다. 비현실적인 풍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이지만 현실로 눈앞에 나타나 있다.
여름에만 열린다는 ‘타이오가 패스’ 60km를 달렸는데 형언할 수 없을 정도의 경이로움을 느꼈다. 겨울부터 봄까지 4계절을 한 도로에서 만날 수 있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하지만 실제로 그랬다. 타이오가쪽 입구에 진입하는 순간부터 눈이 내렸고 투올러미 초원부터는 가을이 펼쳐졌으며 서쪽으로 가는 동안에 여름과 봄을 만날 수 있었다.

그래서일까. 요세미티에 진입하는 순간부터 가장 뷰가 좋다는 글레시어 포인트(Glacier Point)까지 모든 전망대(Vista Point)에는 사람들이 최소 800만 화소가 넘는 스마트폰으로, 최상의 화질을 유지해준다는 첨단 미러리스 카메라로 담기에 바빴다. 전세계에서 모여든 관광객들이 원하는 것은 자신이 들어간 사진 속 요세미티인지, 스마트폰으로 친구나 가족에게 공유할 수 있는 요세미티인지, 자신들의 눈에 담긴 요세미티인지, 그 모든 것인지, 모르는 채 열심히 검지손가락을 움직이고 다음 장소로 재빠르게 이동한다.

요세미티가 현실인지 사진속 요세미티가 현실인지 구분할 수 없다.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요세미티는 전체 ‘요세미티 국립공원’의 1%에 불과하다. 1%만 보고 “나는 가봤다”라고 한다. 이는 맞는 말이기도 하고 틀린 말이기도 하다. 관광객들이 즐겨찾는 1%인 ‘요세미티 밸리’는 전체를 대표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하지만 99%에 달하는 요세미티 지역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틀린 말일 것이다.
요세미티에는 1400여종의 식물, 74종 이상의 포유류, 230여종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인간도 요세미티에 서식하는 한 종류하다. 하지만 인간들이 아는 요세미티는 자신들이 전부라고 생각하겠지만 생태계의 입장에서 보면 인간도 요세미티 생태계를 이루는 구성원이며 비중은 1%에 불과하다. 그래서 인간들의 눈에 비친 요세미티만 보고 “이것이 요세미티다”라고 하는 것은 맞는 말이기도 하고 틀린 말이기도 하다. ‘국립공원 요세미티’는 인간들이 만들었기 때문에 맞는 말이기도 하지만 그곳에서 서식하는 식물, 포유류, 조류의 시각에서 보면 틀린 말일 것이다.
생태계란 이런 것이다. 분명 현실이지만 비현실적 요소를 담고 있다. 어느 누구도 규정할 수 없지만 규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스스로 탄생, 변화, 발전, 소멸 등 생명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누구’의 생태계도 아니고 ‘누구의 생태계가 아닌’것도 아니다. 소위 글로벌 혁신 엔진이라고 하는 실리콘밸리에서 지난 1년 가까이 공부하고 살면서 느낀 것도 이 같은 ‘비현실적 현실’과 비슷했다.

구글, 애플, 페이스북, 트위터, 테슬라, 야후 등의 기업과 제품, 서비스가 만들어 지고 스탠포드라는 학교가 있는 것은 분명 현실이지만 이것을 구성하는 것은 마치 ‘책 속’에서나 존재할 것 같은 비현실적인 요소가 많다.
창업 정신, 기업가 정신, 완벽한 제품, 글로벌 아웃소싱 인소싱 오프쇼어링, 소프트웨어 문화, 구글 문화, M&A, IPO, 벤처캐피털, 각종 개발자대회, 문샷씽킹, 디자인 씽킹, 린 웨이, 디스럽티브 웨이 등 하나 하나 ‘배우고 따라야 할’ 것들이 한 눈에 펼쳐진다.

학교 수업 시간도 마찬가지였다. “이게 현실의 수업인가. 영화에나 존재하는 이상적 수업인가”라고 착각이 들 정도로, 말을 할 수 없을 정도로 훌륭했다. 너도나도 실리콘밸리에 대해 말하지만 그것은 맞는 말이기도 하고 틀린 말이기도 하다. 그래서 실리콘밸리를 ‘생태계’라고 하는 것이다.

요세미티는 오직 한 곳에만 있으며 실리콘밸리도 오직 캘리포니아에만 있다. 많은 국가들이 요세미티를 본따 국립공원을 만들고 있지만 요세미티가 될 수 없으며 실리콘밸리를 본따 혁신 단지를 만들고 있지만 실리콘밸리가 될 수는 없다.

생태계에 대한 이해없이 ‘한국의 요세미티’를 만들겠다며 설악산이나 금강산을 요새미티화하는 것이 설악산이나 금강산을 망치는 일이듯 혁신 생태계에 대한 이해 없이 ‘한국의 실리콘밸리’를 만들겠다며 특정 지역을 인위적으로 조성하려는 것은 실패로 가는 지름길이다.

요세미티보다 훌륭한(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제주 올레길’이 있 듯 실리콘밸리보다 훌륭한 새롭고, 작고 빠른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혁신과 창조의 해답일 것이다. 세계적 관광명소 ‘올레길’을 만들줄 아는 저력이 있는 한국인이다. 비현실적 현실을 보며 동경하고 자괴하기 보다는 ‘올레길’을 만든 것과 같이 지역을 사랑하고 생태계를 배려하며 무엇보다 ‘사람’을 아끼고 사람을 모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글 : 손재권
출처 : http://goo.gl/9g7d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