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서 지방대 의대보다 낮은 인기의 컴공이라는 게시글을 보았습니다. 저는 컴공과 출신입니다. 개발을 그만둔 현재 많은 친구들이 아직 현업에서 일하고 있고, 여전히 기술관련 이야기를 보면 뛰어들고 싶어 근질근질합니다.
미국의 유망하고 높은 임금을 받는 직종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4위를 기록했습니다. 더불어 한국 엔지니어는 미국 내에서 일 잘하고 성실하다는 평가로 자자합니다. 그런데 어째서 한국에서는 이 정도로 천덕 꾸러기 신세일까요?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왜 이렇게 됐을까?
근본적으로 기술자를 대우하는 기업이 없고, 기술 기업이 생존하지 못해서라고 봅니다.
산업 전체 측면 – 기술기업이 생존하지 못하는 산업환경
1차적으로 기술기업이 생존하기 어렵습니다. 높은 기술수준을 가진 기업이 없다는 업계의 이야기도 있지만, 그 높은 수준을 가지기 전 생존하는 것 조차 쉽지 않다는 것이죠. 이는 기술은 기본적으로 오랜 기간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며, 기술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것이 쉽지 않다는 겁니다.
많은 기업들은 우선 눈앞의 단기적인 이익이라도 쫓아야 가장 기본적인 ‘생존’이 가능합니다. 이들에게 높은 기술을 위한 투자는 사치이며, 당장 이익을 만들어낼 수 있는 기술의 외주가 우선입니다. 독자적인 개발보다는 해외에서 높은 기술을 사서 작은 이익을 남기고 생존부터 하는 거죠. 기술 개발이란 상당한 기간과 시행착오가 필요한 부분인데, 대한민국에서 여유로운 개발은 쉽지 않고, 개발자 인력도 부족합니다.
회사내 측면 – 회사를 주도 하는 이들의 낮은 기술 이해도
기술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하지 못하니 가장 간단한 방법은 MD로 짤라 리소스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로 인해 결국은 기술의 품질보다는 노동시간으로 계산을 하게 되니 IT판이 야근이 잦다는 오명을 안게됩니다. 무리한 일정과 장기적이지 못한 기획도 문제입니다. 이 역시 기술에 대한 이해가 낮은 의사 결정자들에 원인이 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비 개발직군을 개발인력으로 만드는 것보다 의사결정권을 가진 비 개발직군에게 개발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게 더 올바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해결 방법
산업 전체 측면 – 기술기업의 성공 케이스 만들기
답은 간단합니다. 기술기업이 성공하는 모습을 만들어야 합니다. 네이버나 카카오같이 대단위로 성공한 기업이 ‘기술기업’의 면모와 리더쉽이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성공한 기업들이 기술기업이 아니라고 비판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들이 기술기업이 아니었기 때문에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인재 측면 – 융합형 인재 양성
융합형 인재라고 해서 인문계 다니던 친구를 갑자기 개발자로 만든다던가, 개발하던 친구의 역할을 바꾼다던가 하는 것이 아닙니다. 특정 분야의 충분한 전문가가 된 이들이 다른 도메인으로 쉽게 넓힐 수 있도록 하는 점입니다.
의사결정자나 정부의 관료들의 기술 인식 수준이 매우 낮은 경우가 많은데, 기술이란 필드에서 몸으로 체득하지 않으면 완벽히 익혀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저 이론적인 정보관리사 기술사 시험이나, 교과서에서 익히는 것이 아닌 업계의 전문가들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그 전문가들이 그 전문지식을 활용하고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면 소용이 없습니다. 개발자는 기획자처럼 약을 팔 수 있어야 하고, 기획자는 어떤기술이 어디에 배치되면 좋을지, 개발을 알아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융합형 인재입니다.
중요한 것은 원인이자 결과가 될 성공사례
사실 지금까지 이야기했던 개론적인 내용보다는 각론이 훨씬 중요하고 복잡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개론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단순히 미국의 실리콘 벨리의 환경을 그대로 옮기자라든지, 개발자의 연봉을 갑자기 의대수준으로 맞추자는 얘기를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것은 환경이고 에코입니다. 산업 전체나 인재 측면에서 모두 엔지니어 출신임을 자랑스럽게 얘기할 수 있는 성공사례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수백개의 정책보다 단 한 명의 슈퍼스타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글 : 숲속얘기[양병석]
출처 : http://goo.gl/iqthz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