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up Series Part 2-[주종익의“How To” Startup # 10] Aufheben(止揚)

14

1. 새로운 긍정 새로운 출발

아마도 여기까지 온 기업은 사회적으로 성공한 기업으로 많은 각광을 받았을 것이고 Founder는 명성과 큰돈을 벌어 커다란 신분 상승을 맛보고 있을것이다.
정상에 올라선 성취감은 그 동안의 힘들고 어려웠던 모든 것을 날려버리고도 남는다. 어쩌면 손만 뻗어 까치발로 서면 천국이 닿을 황홀함을 경험한 사람도 있을듯하다.
그러나 성공에 도취해 있을 시간이 그리 많지는 않다. 성공의 알맹이에는 성공이라는 형상(形相) 말고도 실패라는 것도 같이 붙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다만 실패의 형상이 성공의 형상보다 작았기 때문에 우리의 눈에는 성공만 보일 따름이다. 때로는 성공의 과정도 능력과 노력에 의한 성공도 있지만 Luck(재수)에 의하여 성공을 하고도 능력에 의하여 성공했다고 믿고 있는 사람도 많음을 그들의 몇 년 뒤를 보면 알게 된다.
나의 친구 중에 IMF직전에 거의 부도 직전까지 가서 이제는 문을 닫아야겠다고 생각하던 회사가 IMF가 터지면서 환율이 2배가까이 상승하는 바람에 앉아서 성공하여 돈을 많이 벌은 친구가 있었다. 언제나 어깨에 힘을 주고 실력으로 성공하였다는 착각 속에 살았으며 미래의 정주영이라고 공공연히 떠들고 다닌 친구가 있었다. 물론 지금은 쫄딱 망했다.
성공한 사람들이 가장 경계하여야 할 것이 Success Trap에 빠지는 일이다.
지금까지 망한 거대 기업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성공의 함정에 빠져 허우적대다가 없어진 기업들이다. 가장 비참한 것은 자기가 성공의 덫에 걸린 줄도 모르고 꺼꾸러진다는 점이다. 나중에 남들이 지적해주는 바람에 그제야 깨닫게 된다.
이제 이 모든 것을 긍정하고 새로운 출발을 위한 시동을 걸을 때다. 영원한 Going Concern으로 가기 위해서는 지금을 처절하게 돌아보고 다음의 도약을 위한 위대한 새 출발의 결단을 Startup을 시작할 때와 같은 심정으로 다시 죽음으로부터 들려오는 마음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통상은 Creative Destruction(창조적 파괴)이라고도 하고 개혁이라고도 하지만 나는 헤겔의 변증법에 나오는 Aufheben을 말하고자 한다. Aufheben은 우리 말로 지양이라고 하며 한자로는 止揚이라고 쓴다. 헤겔 변증법의 2차 부정을 지양이라고 한다.
그냥 내 생각으로 헤겔을 말한다. 헤겔은 대단한 욕심쟁이 이다. 세상의 모든 것을 변증법이라는 것으로 설명을 해냈다. 그에게는 세상에 설명이 안 되는 것이 없다. 그래서 헤겔을 이성주의 (합리주의)의 완성자라고 하는지도 모르겠다.

지양에는 3가지의 뜻이 있다.
첫째. 버리다
둘째. 유지한다
셋째.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가다

2. 버리기

새로운 출발을 하려면 성공한 지금의 회사가(즉자) 누구인지 먼저 자세히 알아야 한다. 스스로를 자세히 되돌아본다는 것이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자세히 알아본다는 말은 부정해본다는 뜻이다. “아하~ 우리회사가 성공한 회사가 아니지~” 무엇이 성공을 방해했지? 라고 반문하는 일이다. 성공한 회사를 부정 해보는 일이 쉬운 일인가? 그러나 이것이 Success Trap(성공의 함정)에 빠지지 않는 길이다.

내가 누구인지 알려면 나를 나에게서 떨어트려 놓는 일이(대자) 제일 먼저 하는 일이다. 그리고 나와 떨어트려놓은 것과 나를 서로 비교하여 보아야 한다(1차부정). 갈등과 대립 모순을 통해서 서로 붙어있는 성공/실패/욕심 /부정/술수/사기/눈가림/함정 등등의 각종 부정적인 요소들과 엉켜져 있는 덩어리인 성공의 핵에서 원심분리기처럼 움직이는 운동을 통하여 하나하나 요소들을 분리해내고 찾아내어 서로 다른 것은 버리고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이는 과정을 통하여 비로서 내가 누구인지를 자세히 알아 내게 된다.

우선 버리는 작업이다. 모든 실패의 가능성이 있는 잠재 요인들을 모조리 냉정하게 찾아내어 과감히 버린다. 대부분 그것들은 아마도 지금까지의 성공 요인이라고 철석같이 믿고 있던 가짜 다이아몬드일는지 모른다. 성공적인 제품개발에 가장 공헌한 개발자가 앞으로는 개혁의 가장 걸림돌이 되는 사람일 가능성이 많다. 자기가 만든 제품과 성공요인을 버리지 않으려고 할 것이 너무나 뻔한 일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는 돈으로 보상을 하라 그리고 과감히 이 개발자를 2선으로 후퇴시켜라. 쉽지 않은 일이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일들이 도처에 있을 것이다.
누구나 다 아는 버려야 될 것을 버리는 것은 버리는 것이 아니다. 정말로 애지 중지 했는데 이것이 나중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을 때 그것을 지금 버리는 일 이것이 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 제일 돈을 많이 벌고 있는 사업을 포기하는 일이 될는지도 모른다.
열정이라고 생각했던 것에 욕심이 포함되어있었다면 욕심을 빼내야 열정이 되는 것이다. 욕심이 포함된 열정 그것은 열정이 아니다.

3. 살리기

원심 분리기에서 분리된 조각들 중에 그대로 받아 들여야 할 조각들은 그대로 받아 들여라.

그 첫 번째가 처음 Startup을 시작할 가졌던 초심이다. 초심은 그대로 유지하라. 대부분 초심은 순수하고 순진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은 가장 어려웠을 역경을 극복하면서 가졌던 마음이다.
Culture(문화)와 Mission도 어쩌면 약간의 수리 정도 해서 받아 들여도 될는지 모르겠다.

이와 같이 받아들여야 할 것들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경영이념이나 철학에 관한 사항이 많을 것이다.

자기만 바뀌면 되는 사람이 남들보고 다 바꾸라고 떠들지만 결국 바뀌어야 될 사람은 자기임을 모르고 있으니 참으로 측은 하기 그지없다.

4. 더 높은 곳을 향하여

한 단계 더 높은 곳으로 나아가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부분은 “나에서 우리로” 생각의 범위를 넓이는 일이다.

물론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불가능에 도전하는 도전 정신도 필요하고 앞으로 시대의 변화에 민감하게 예측하고 대응하는 일이나 system을 개혁하고 훌륭한 인재들을 더욱더 기르고 보강하는 일 같은 뻔한 일은 당연히 하는 거다.

그러나 그것보다는 나는 모든 인류와 공감 하는 일 모든 인류와 공유 하는 일 그리고 모든 인류에 공헌하는 3공을 생각할 줄 아는 CEO가되는 일이 더 높은 곳을 향해 영원한 Going Concern으로 가는 길이라 생각한다.

Startup의 어느 책이나 강의를 봐도 고객/고객/고객을 강조에 강조를 한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기업을 둘러 싸고 있는 Stakeholder(이해당사자)는 고객만 있는 것이 아니다. ES(Employee Satisfaction 종업원 만족)없는 CS(Customer Satisfaction 고객만족)는 없다. 종업원이 불만투성이인데 어찌 좋은 제품을 통해 고객을 만족 시키겠는가?
종업원 밖에는 투자자도 있고 지역사회도 있고 국가도 있고 더 나아가 세계도 있다.
이들 모두가 우리를 둘러 싸고 있는 경영환경이다. 이들과 공감하고 공유하고 이들을 위해 공헌하는 기업이야말로 더 높은 곳을 향하여 나아가는 기업이다

5. 다 쓰고 가라

내가 이렇게 성공 할 수 있음에 감사하라. 그것은 온전히 나만의 은총이 아니다. 어린 나이에 너무 많은 돈을 벌게 된 것을 기뻐만 하지 마라. 어쩌면 네가 어떻게 하나 보자 라는 하느님의 Test 인지도 모른다
감사하고 모두를 위해서 그리고 우리 회사를 위해서 선 순환하는 투자와 지원을 후배들을 위하여 하고 가라. 나는 종종 Bill Gates나 Mark Zuckerberg같은 이들이 자선을 베풀고 자신의 돈에 대한 철학과 생각을 듣고 보면서 그들이 살고 있는 미국이라는 나라를 존경하고 부러워한다.
그런 사람이 나오기 까지 그냥 되는 것이 아님을 그리고 시간이 지나야 됨을 우리나라의 성공한 부자들을 보며 느끼고 있다. 기존에 돈을 번 재벌이나 요즈음 Startup에 성공해서 돈을 번 젊은이나 별반 차이가 없는 것 같다. 자식을 망치지지 않으려면 남을 위해 그냥 다 쓰고 가는 것이 좋다고 그들은 생각한다.

6. Muss Es Sein-꼭 이래야 돼?

베토벤의 생애를 다룬 영화 Immortal Beloved(불멸의 연인)의 마지막 장면쯤 가면 베토벤이 죽기 전에 재산 상속을 하면서 Muss es sein? 하고 말을 하니까 Es Muss sein이라고(꼭 그래야 돼) 답변하는 장면이 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런 장면에서 이 말을 사용한 것은 다분히 fiction적인 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베토벤의 생애 자체가 한치의 오차도 용납하지 않는 그런 삶을 살았다. 음표 하나하나를 꼭 써야 될 자리에 쓰는 가혹하리만큼 철저한 완벽을 추구했다. 그렇기 때문에 최고의 작곡가로 대우를 받는다. 베토벤의 음악을 듣고 있으면 어느 음 하나 빼고 넣을 것이 없을 정도로 완벽한 곡을 만들었다는 생각이 든다. 꼭 이 음표를 여기에 써야 돼? 라고 질문하고 그래 꼭 그래야 돼 라는 응답을 받을 때 그 음표를 썼을 것이다.

열 번째 글로 How to startup을 마치면서 마지막으로 꼭 아래의 글로 마무리 하고자 한다.

62

글: 주종익
원문: http://goo.gl/3LH0d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