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발굴되지 않은 새로운 곳에 가서 내가 살고 싶은 동네를 만드는 것. 그것이 우리가 거제로 내려간 이유입니다.” 박은지 공유를 위한 창조 대표는 11일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열린 로컬크리에이터 페스타 패널토론에 참여해 90년대생 지역 크리에이터가 생각하는 일의 방식과 업의 가치에 대해 설명했다.
박 대표는 도시 계획을 전공하고 부산에서 마을 주민과 함께하는 도시민박촌 이바구캠프 대표로 일하다 최근 고향인 경남 거제로 이주, 두 지역을 오가면서 활동하고 있는 지역 크리에이터다. 최근 팀원들과 거제로 이주한 박 대표는 “거제가 조선업의 도시라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좋은 자연 환경, 역사, 문화 자원이 숨겨져 있는 도시다”며 “조선업이라는 이름안에 가려져있다”며 “아직 발견되지 않은 원석 같은 가치를 가진 거제라는 도시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해 이주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직원들과 거제에 내려와 8개월 동안 놀기만 했다”고 덧붙였다. 살고 싶은 동네를 만들기 위해 직접 거주하며 어떤 것이 필요할지 실험을 한 것. 공유를 위한 창조 최근 거제의 아름다운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아웃도어 액티비티를 진행하도록 결정,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이날 패널토크에는 또 한 명의 90년대생 크리에이터 김하은 해녀의 부엌 대표도 참여했다. 김 대표 역시 제주도에서 태어난 지역 토박이. 10년 서울 생활하고 돌아간 제주도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봤다. 어업에 종사한 부모님 덕에 해녀의 삶을 가까히에서 지켜본 김 대표는 해녀가 채취한 해산물 가격이 현재 일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게된다. 엔저 현상으로 가격은 떨어지고 제주도 내에서는 최저가 보장제를 제공하지 않아 해녀의 생활이 어려워지는 현상을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업을 시작했다. 낙후된 어촌 시장의 변화를 위해 젊은층이 유입되야 한다고 생각한 것. 해녀의 부엌은 제주 로컬 콘텐츠 ‘해녀’를 공연과 다이닝을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90년대생인 두 대표가 생각하는 90년대생의 일하는 방식의 특징은 무엇일까. 90년생인 김 대표는 “사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저는 잘모르겠지만 재미가 가장 중요한 삶을 살고 있는 세대란 것”이라며 “재미없는 일은 하지 않는다가 아니라 일 안에서 재미를 찾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자신의 좌우명도 ‘재밌게 살자’라고 밝힌 김 대표는 “팀원들이 모두 90년대생인데 상사가 지시한 업무를 하기보다는 본인이 하나의 프로젝트를 맡아 재미를 갖고 해나가는 것에 의미를 두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박 대표는 “90년대생은 SNS를 기반으로 일을 한다”며 “모든 자료 검색의 1순위는 유튜브고 여기에서 얻은 정보로 아이디어 회의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자유롭게 일을 하고 싶어 한다는 것. 박 대표는 “자율출퇴근제를 시행하고 있다”며 “스스로 자유로운 업무환경을 좋아하기 때문에 시작했고 자유를 추구한다고 해서 업무가 진행 안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각자 책임을 다해서 노력을 하기 때문에 오히려 자율성을 줬을 때 시너지를 발휘하는 것이 90년대생의 특징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표는 “회사 차원에서 직원에게 2년 정도는 원하는 프로젝트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열어주고 좋아하는 분야가 생겨 그것을 하고 싶다고 하면 그 분야로 나아갈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타 세대와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 질문에 박 대표는 일하는 방식을 꼽았다. 박 대표는 “직원 모두 90년대생이고 70년대생인 직원이 1명이 있다”며 “나이 차이에서 오는 경험의 가치가 있기 때문에 배울 게 있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일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자신이 경험한 방식으로 일의 방법을 전수해주려는 상사의 방식이 부담스러울 때가 있다는 것. 박 대표는 “느리더라도 그 나이때 해야할 것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너무 빠르게 일의 방법을 배우고 싶진 않다”고 말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소통의 시간을 늘려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70년대생 멘토들과의 경험을 예를 들었다. 김 대표는 “그분들의 얘기를 그대로 들었다면 사업을 시작하지 못했을 것 같다. 다 안될거란 얘길 했다”며 “우리의 비즈니스는 해산물만 판매하는 것도, 공연만 하는 것도 아니라 사업을 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없고 다 새로 만들어나가고 있는 것인데 그런 방식은 안된다고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지금 말하고 싶은 메시지는 그냥 도전을 해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