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에서의 TV 서비스의 미래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브로드밴드 전성시대가 다가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모바일 인터넷기반으로 TV 방송 프로그램을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으며, 누구나 손쉽게 사진뿐 아니라 동영상을 YouTube에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사실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3G 네트워크와 함께 시작되었지만, 최근까지 3G 네트워크의 장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었다. 복잡한 요금제와 제한적인 성능의 단말기 그리고 접근성이 어려운 미디어 서비스 등으로 고객이 진정으로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느끼기에는 현실적인 제약이 많았다. 그러나 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스마트 기기들의 대중화와 3G 네트워크의 무한제 요금제라는 매력적인 제안 그리고 저렴해진 클라우드 기술로 인해 서비스 제공사들은 고객들에게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장점을 제대로 느낄 수 있게 하는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본 고에서는 미디어 산업 중에 동영상 서비스가 왜 이렇게 모바일 브로드밴드와 함께 주목 받기 시작했는지를 이제까지 TV 업계에서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혁신의 실패들을 돌이켜보고, 그러한 노력들이 모바일 브로드밴드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만나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려 한다.

결국 TV 업계의 오랜 꿈인 대화형 방송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다만 그것이 기존의 전통적인 TV 만이 아니라 “다른 스크린”과 같이 “두 개의 스크린” 형태인 것이 기존에 생각하지 못했던 현상이고, 사용자의 참여를 위해 시도했던 복잡한 TV 리모콘의 역할을 스마트폰 차지하고 있다.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향후 이러한 N스크린 기반의 컨버전스 동영상 서비스가 단순히 기존에 TV 업계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멀티 플랫폼 전략과 다양한 미디어 간의 컨버전스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서는 경쟁할 수 없게 되어가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 우리는 아마도 여러 개의 스크린을 동시에 사용하며 각 스크린에 최적화된 미디어를 즐기면서 복합적인 서비스를 자유롭게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예상된다.


1. 다채널 방송에서 주문형 프로그램으로


1.1시간 기반의 채널 방송이 주는 한계들

기존에 TV 중심의 동영상 서비스를 생각해보면 서비스의 핵심 개념이 바로 “시간” 기반의 채널이다. “시간”이 중요한 실시간 방송을 제한된 네트워크에서 전송하기 위해서 “채널”이 필요했고, 그 채널에 어떤 프로그램을 어느 시간에 방송하는가가 무엇보다도 중요했다. 우리가 최근까지 접했던 모든 TV 프로그램 편성표는 모두 “채널”과 “시간’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고객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면서 공급자 입장에서 “시장”을 확대하는 좋은 방법은 바로 “채널”을 늘려서 더 전문적인 채널을 만드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현재 수 많은 채널들을 만나볼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고객이 원하는 것은 다양한 컨텐츠이고 실시간 방송은 아직도 중요하다. 뉴스나 스포츠 경기 중계는 아직도 실시간 방송의 킬러 컨텐츠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소비자는 TV 역사80년동안 학습된 “채널”이란 개념을 여전히 친숙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지금의 젊은 고객층은 YouTube에 익숙하고 네이버 “검색”과 함께 자란 세대이다.  

한 조사결과를 보면 2015년에 독일의 젋은 고객(14세~29세)층이 TV에서 실시간 방송을 보는 비율이 55%인데, 비실시간 방송 또는 TV아닌 다른 기기에서 동영상을 시청할 비율이 45%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사실 기존 TV업계에서 혁신의 접근의 기본 방향은 우선 채널의 증가였다. 무한대의 채널이라는 개념으로 IPTV를 광고했고, 디지털TV 기술의 다중채널기술 또한 이를 위한 것이다. 하지만 고객이 원하는 것은 “많은 채널”이 아니라 자기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원하는 시간에 보는 것이다.


1.2 실시간 방송의 제약에 대한 해결책과 그 한계

IPTV가 대중화되기 전까지 동영상 서비스는 실시간 TV방송이 거의 유일하다고 할 수 있었다. 소비자는 다만 프로그램을 원하는 “시간”,“공간”,“스크린”에서 시청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이 시대를 풍미하게 된다.

바로 “시간의 제약”에 대한 해결책이 과거에는 “VTR”이었으며, 그 디지털 버전이 “TiVO”로 대변되는 DVR이었다. 또한 “공간의 제약”에 대한 해결책이 “SlingBox”였으며 Sony의 “LocationFree”라는 제품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들도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바로 “실시간 방송”의 “시간”과 “공간”을 잠시 “이동이나 보류(Shift)”하는 것이지 근본적인 “자유”를 제공하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결국 내가 원하는 드라마를 나중에 보기 위해서는 미리 녹화를 예약해야 했고(예:DVR), 원격으로 장비에 접근해서 시청하는 복잡한 과정(예:SlingBox)이 필요했기 때문에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과도기적인 서비스로 사라지게 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실시간 방송”의 중요한 한계를 알아야 한다. 바로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프로그램의 제공”은 결국 사전에 채널 별로 프로그램이 구성된 형태에서는 절대로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단방향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방송 네트워크에서는 절대로 넘지 못할 산이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시청자가 “Linear TV”에서 “Non-Linear TV”로 소비행태가 일정 임계치를 넘어서는 시점부터 단방향 네트워크로는 도저히 이러한 고객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게되며 따라서 이 시점부터 본격적인 “양방향 네트워크”인 IP 기반의 브로드밴드가 본격적인 가치가 살아나게 된다.


글 : 퓨처워커
출처 : http://www.futurewalker.kr/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