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도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최근 “스마트 시티(smart city)”라는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이제 많이들 회자가 되어서인지, 위키피디아에도 당당하게 정의가 되어 있는데, 내용이 참 복잡하다 (더 자세한 내용은 참고자료의 링크를 따라가 보시길). 그냥 간단하게 요약하면 ICT기술과 소셜, 환경 등이 도시의 경쟁력을 결정하므로 이런 것들을 유기적으로 잘 사용하는 도시라는 뜻이다.  IBM에서는 스마트한 지구(Smarter Planet) 전략의 일환으로 스마트한 도시(Smarter City)라는 용어를 만들어서 미래형 첨단도시의 모습을 많이 그려내고 있다.

그렇다면, 스마트 시티를 위해서는 어떤 변화와 혁신이 있어야 할까? 문득 생각나는 것이 서울의 버스안내 시스템이라거나, 강남역 인근에 있는 미디어폴, 지하철역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터치기반의 무인디스플레이 들과 같이 무엇인가 물리적으로 실체화되어 있는 것들이 떠오른다. 그렇지만, 이런 것들은 빙산의 일각이다.  결국 도시는 많은 사람들이 같이 살아가는 네트워크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현명하게 사회적 가치를 높여주는 방식으로 이끌어 나갈 것인지를 결정하는 그런 운영체제가 더 중요하다.  물론, 이런 진화를 위해서는 올바른 도시의 발전방향에 대한 철학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 기본이 되겠지만, 일단 이 글에서는 지나치게 형이상학적인 논쟁은 논외로 하겠다.

앞으로 도시의 경쟁력이 네트워크가 중심이 되는 세상에서는 더더욱 강조될 수 밖에 없다.  보다 효율적이고도 가치중심적으로 도시에 사는 많은 사람들의 능력을 끌어내고, 소외되는 사람들이 없도록 하면서도 도시 자체의 환경문제나 교통문제, 그리고 응급대응시스템(건강보건, 재해대응 등), 상하수도와 쓰레기 처리 등과 같은 도시 인프라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컨트롤할 수 있을지 여부가 더욱 중요하다.  이런 것들은 일부 스마트 디바이스들이나 멋진 구조물 등을 설치하고 사람들에게 자랑한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결국 이들을 스마트하게 운영할 수 있는 운영 노하우와 이를 실질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위 스마트시티 운영체제(Smart CIty Operating System)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스마트 시티를 위한 운영체제는 어떻게 만들어져야 할까?  도시는 PC나 스마트폰과는 달라서 모든 것이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움직이며, 네트워크의 말단에 해당하는 요소들에게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이들 말단이 운영체제에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가치가 분명하다면 많이들 참여를 하면서 네트워크 효과에 의해 가치의 극대화가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그렇다면, 네트워크의 말단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을까?  우리가 상상가능한 도시의 대부분의 요소들이 모두 가능하겠지만, 현실적으로 제일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건물과 교통수단, 그리고 사람들과 이들이 제공하는 여러 종류의 서비스가 될 것이다.  또한, 도시의 인프라와 환경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스마트 센서 등도 날이 갈수록 중요하게 생각될 것이다.  

운영체제는 이런 말단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날아오는 수많은 데이터를 일단 잘 처리해 주어야 한다.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이런 데이터들은 도시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도시에 있는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원천이 된다.  무슨 일이든 정보를 얻고, 우리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내는 것에서 올바른 발전이 있는 법이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사람들이 접근해서 의미있는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에 스마트 시티 운영체제의 첫 번째 목표를 세워야 한다.  예를 들어, 서울시에 있는 수많은 신호등, 버스정보, 교통정보 등을 지역기반으로 잘 획득해서 서비스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스마트 앱들이나 파생 서비스들이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빌딩에서도 매우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각각의 방의 온도, 전기사용량, 물의 사용량, 쓰레기 배출 등에 대해서 센서가 감지해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면 도시의 전반적인 환경과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다.

스마트 시티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의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이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자발적인 의사로 자신들의 생활정보를 개인정보와는 분리된 상태로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어디서 무엇을 하고, 어디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사진을 찍거나 간단히 신고도 할 수 있으며,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으로써 자신들의 의사를 표현하고 도시의 발전을 위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간단히 개인용 스마트 디바이스의 도움을 받아 제공할 수 있다면, 이 역시도 중요한 정보의 원천이 될 것이다.

이렇게 모든 데이터를 이용해서 도시의 발전에 대한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활용하면서 시민들과 도시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쉽게 합의를 통해 예산을 쓰고, 발전에 동참하도록 하는 것이 첫 번째 목표라면, 스마트 시티 운영체제의 두 번째 목표는 빠르게 위기대응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자동화된 제어시스템에 연결하는 것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문제가 생겼을 때 올바른 판단을 통해 제어가능한 스마트 말단들의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다.  빌딩이나 신호체계, 그리고 전자동화된 인프라들의 경우에는 적절한 개입이 가능하다.  응급상황에서의 교통신호가 자연스럽게 바뀐다거나, 전기사용이 어느 지역에 비정상적으로 급증할 경우 에너지 공급체계의 우선순위가 바뀌면서 지역적인 정전을 방지하고 도시 인프라의 파괴를 예방하는 등의 시나리오를 생각할 수 있다.  행사에 의해 일부지역에서 평소보다 과도한 쓰레기가 배출된다면, 청소인력이나 계획 등의 자원투입이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운영체제에 참여한 일반 시민들에게는 행동변화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보내서 이들의 자발적인 의사에 의해서 도시의 운영이 원활해지게 하는 것도 좋은 사례이다.

이미 이런 사고를 가지고 사업을 전개하는 곳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Urban OS”라는 것이 로테르담에서 열렸던 M2M(Machine-2-Machine) 컨퍼런스에서 발표가 되었는데, F1 자동차 센서를 만드는 맥라렌(McLaren Electronic Systems)에서 스마트폰 앱과 유사한 PlaceApps 라는 것을 통해서 도시의 다양한 데이터를 모으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의 독특한 네트워크 운영체제 개념이었다.

아직은 원시적인 개념이지만, 근본적인 철학에는 커다란 차이가 없을 것이다.  보다 다양한 센서들과 스마트 디바이스들, 그리고 스마트 빌딩과 자동차 등은 이런 변화를 가속화시키는 중요한 인프라가 될 것이다.  스마트 시티는 이와 같이 보다 커다랗고 근본적인 차원에서 고민이 되어야 한다.  단순히 조금 더 멋지고, 바깥에 보여주기 좋은 수준의 시설에 투자하는 그런 하드웨어 중심적인 시각에서, 가치를 중심으로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에 초점을 둔 보다 근본적인 운영체제를 고민하는 혜안을 가져보기를 기대한다.

참고자료:
IBM Smarter City 홈페이지
Smart City by Wikipedia

글: 하이컨셉
출처: http://health20.kr/2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