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에 대한 공유경제의 가능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from foragesf.com

최근 공유경제가 커다란 이슈다. 에어비앤비는 자신들의 방을 공유하는 수많은 사람들과 저렴한 숙박지를 찾는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의 호응속에 설립한지 5년 만에 힐튼 호텔 네트워크를 능가하는 세계 최대의 숙박 네트워크로 등극했고, 자동차를 공유하는 짚카 역시 승승장구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자동차 부분에서는 쏘카와 그린카, 숙박에는 비앤비히어로와 코자자와 같은 토종 브랜드들이 서서히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옷을 공유하는 열린옷장, 공간을 공유하는 코업(Co-Up) 등과 같이 그 대상은 점점 더 넓어져만 간다.

최근 샌프란시스코에는 또 다른 형태의 공유경제 시도가 나타나고 있어 화제다. 이번에는 그 대상이 부엌이다. 처음 시작은 정말 맛있거나 예술적인 음식을 만드는 주변의 할머니와 학생들, 동네 아주머니 등이 자신들의 음식을 친구들이나 가족을 넘어서서, 어떻게하면 쉽게 사업화해서 기업가로 성공할 수 있을지 도와줄 것인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이소 레이빈스(Iso Rabins)가 2009년에 설립한 언더그라운드 마켓(Underground Market)은 이런 음식들을 소개하고 서로 나누는 아이디어로 출발했는데, 수백 명의 음식제공자들과 수천 명의 참가자들이 참여하면서 주변 도시로까지 퍼지기도 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음식에 대해서는 인증된 주방에서 만들어져야 한다는 샌프란시스코 시의 규제에 걸려서 사업을 중단하게 된다.

처음의 아이디어에서 예상못한 규제라는 덫에 걸려서 실패를 맛본 이소 레이빈스는 좌절하지 않고 완전히 다른 접근방법을 생각해냈는데, 음식 기업가를 위한 공유부엌인 Forage Kitchen이 그것이다. 일단 부엌을 상업화가 가능한 수준의 제품화가 되도록 법적인 부분과 프로세스 등을 갖추어 두고, 여기에 비즈니스를 지원하고 교육 등을 하면서 실제로 이곳에서 실험적인 음식과 식품을 제조하고, 성공적이면 사업을 확대할 수 있는 일종의 음식/식품 스타트업 인큐베이터가 되기로 한 것이다. 사람들만 모집하고, 그때 그때 임시로 장소만 확보하면 되는 언더그라운드 마켓과는 달리 Forage Kitchen은 초기에 이런 공유 부엌을 만들기 위한 초기 자금이 필요한 것이 난관이었다. 이를 위해서 그가 선택한 것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이 킥스타터(Kickstarter)였다. 아래와 같은 킥스타터 캠페인을 통해 2012년 6월 15만 달러의 초기자금을 모으는데 성공한 그는 최초의 음식/식품 코워킹스페이스(Coworking Space)를 오픈하기 위해 실무적인 작업에 들어갔다고 한다.

이미 언더그라운드 마켓에 참여했던 많은 참여자들이 Forage Kitchen이 오픈하면, 자신들의 실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상업적인 성공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이들은 이 공간을 통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자신들의 음식과 식품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간단히 고객들의 반응을 보면서 성공여부를 점쳐볼 수도 있다. Forage Kitchen은 어떤 면에서 우리가 발견하지 못한 풀뿌리 혁신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진입장벽을 협업이라는 원리를 이용해서 극복하며, 교육을 통해 사업의 성공가능성도 높인다는 측면에서 우리 사회의 경쟁력을 전체적으로 높이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된다. 특히 샌프란시스코에는 저소득의 이민자 여성들이 많은데, 이들의 이국적인 음식솜씨를 발휘하면서, 빈곤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사회적인 의미도 크다고 한다.

더 나아가서는 이 공간이 단지 음식과 식품을 만드려는 사람들의 것으로만 존재하지는 않을수도 있다. 멋진 부엌을 통해 진취적인 젊은이들이 모여들고, 모임이나 워크샵 등을 가지면서 자연스럽게 같이 음식을 해먹을 수 있는 공간. 우리 사회에서 가장 부족한 함께하는 이벤트를 훨씬 정겹게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가능성도 열려있다. 그래서인지, Forage Kitchen의 청사진을 보면 부엌 공간 뿐만 아니라 카페와 회의실, 맥주와 같은 주류를 숙성시키는 공간, 옥상정원 등과 같은 다양한 공간과 장비를 시간 단위로 빌려주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아마도 이런 종류의 사업이 크게 돈을 벌거나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렇지만, 음식과 같은 가장 중요한 지역사회 기반의 풀뿌리 사업조차도 자본과 대기업, 그리고 시장의 논리에 의해 지배되기 시작한 작금의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약자들에게 새로운 돌파구를 제공하는 그런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참고자료:
Forage Kitchen 홈페이지
Forage Kitchen 킥스타터 캠페인

글 : 정지훈
출처 : http://health20.kr/2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