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케이블 TV에서 초등학생 교육을 위한 SNS를 개발한 선생님을 취재한 프로그램을 보았다. 학교에서 스마트폰을 압수하고,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선생님들도 많은데, 이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쓰면서 이를 교육 프로그램과 연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만드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그의 이런 노력은 결국 사비를 털어서 교육용 SNS인 클래스팅(ClassTing)을 제작하는 것에 이르게 되고. 입소문을 타고 여러 선생님들이 이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이제는 성공한 스타트업 사업가로서의 입지도 다지고 있다고 한다. 한국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하니, 같은 스마트폰과 SNS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이렇게도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이미 디지털 네이티브로 자라는 아이들은 기술을 이용해서 참여하고, 이해하며, 학교의 과제를 처리하는 것에 익숙하다. 이런 변화의 물결 속에서 우리는 배운다는 것과 정보에 접근하는 방법, 그리고 선생님 및 친구들과 상호소통하고 협업하는 방법을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오늘날의 학생들은 배우는 경험이 협업의 과정이기를 바란다. 전통적인 배움의 방식대로 지식을 전수받고, 이야기를 듣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이상으로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게임의 요소를 도입하고, 서로 상호작용하는 의미있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그런 창조적인 환경을 학교에서 제공해 주기를 원한다. 공부를 한다는 것은 단순히 수동적으로 읽고, 듣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정보를 획득하고, 동기부여를 받으며, 학습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이런 새로운 변화에는 더욱 적합한 시각이 아닌가 한다.
최근 이런 변화를 받아들이는 선생님들이나 교실 들이 조금씩 늘고 있는데, 새로운 교육혁신을 주창하고 있는 기업인 Alleyoop의 부사장인 제라드 라폰드(Gerard LaFond)는 Good.is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미래의 교실의 변화에 대한 4가지 충고를 하고 있는데, 내용이 귀를 기울일 만하다. 그의 주장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 학생들에게 실패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 (Provide students with a safe space to fail)
온라인 게임에서는 플레이어들이 어떤 시도를 하다가 실패를 하더라도, 가장 안좋은 결과가 일부 포인트를 잃거나, 가상생명 하나 정도가 없어지는 것이다. 플레이어들은 다영한 종류의 솔루션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도하는데, 그것이 성공하게 되면 큰 성취감을 얻는다. 학교에서는 학생이 실패하면, 어이없게도 사회적 낙인이 찍히거나 감성적인 타격을 많이 받는다. 학교가 학생들을 재판하는 곳은 아니지 않은가? 게임에서와 마찬가지로 배움에 있어서도 많은 실패를 하는 학생들이 많은 시도를 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더욱 빨리 배울 수 있다.
- 온라인 요소를 교실에 도입 (Move online elements into the classroom)
온라인에 교실에서 있었던 일을 연장해서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좋다. 게시판을 통해 서로의 피드백을 받아보기도 하고, 서로 댓글을 달거나, 반응을 하는 등의 적극적인 참여는 학습분위기를 다르게 만든다. 이를 통해 공부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가 올라갈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페이스북과 카카오톡, 또는 앞서 언급한 클래스팅과 같은 서비스를 활용한다면 좋을 것이다.
- 질문과 도움요청에 편안한 환경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ask questions)
학생들이 교실에서 질문하고 도움을 요청하는데 편안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온라인을 활용하면 기초적이고, 너무 간단해서 학교에서 손을 들고 질문을 던지기 쑥쓰러운 것들을 피해가게 할 수 있다.
- 교실 구조의 해체 (De-structure the classroom)
전통적인 교육 시스템은 어떤 개념을 마스터하고, 시험을 보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렇지만, 디지털 네이티브에게 적합한 교육은 학교에서 배우고 경험한 것을 수업이 끝나고 나서 탐구도 더 많이 해보고, 더 나아가서는 평생동안 공부를 해볼 수 있는 그런 열린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교실의 구조가 적합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검토해 봐야 할 것이다.
학생들에게 이제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은 생활이나 마찬가지다. 그런 측면에서 기술과 교육의 경험이 통합되고, 새로운 방식의 교육방식이 등장해야 하는 것은 시대적 소명이다. 학생들이 적절한 정보를 찾고, 이를 잘 활용하도록 만드는 것은 미래시대에 있어서는 국어와 수학을 배우는 것 만큼이나 중요한 능력이다. 일부 학교에서는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전통적인 칠판을 걷어내고, IT기술이 접목된 소위 스마트 보드(Smart Board)가 보급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미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컴퓨터를 이용해서 수업준비를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지만, 진짜 스마트 교육은 이런 장비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아이들 세대를 이해하고, 이들과 함께 하는 문화와 기술을 같이 생각하며, 어떤 교육이 가장 효과적이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없다면 스마트 교육은 빛좋은 개살구만 될 가능성이 높다.
참고자료:
A Digitized Teaching Philosophy That Uses Tech Like Kids Do
What’s the Purpose of School in the 21st Century?
글 : 정지훈
출처 : http://health20.kr/2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