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창업 지원 정책이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된다.
정부는 창업자가 창업활동(창업 아이템 사업화, 창업 준비 등)에 필요한 세부 프로그램과 창업지원기관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창업 맞춤형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은 주관 기관의 특성에 따라 4개 세부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창업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세부 프로그램은 △벤처캐피털 등 전문 투자기관이 운영하는 투자 기관 연계 프로그램 △공공 분야 연구기관의 고유 기능을 활용하는 전문 기관 연계 프로그램 △대학 등 창업 보육 역량을 보유한 △일반 지원 기관 연계 프로그램 △창업 시기 등 지원 수요를 감안한 수시 접수 방식의 수시 발굴 연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그간 대학 중심의 창업지원 기관 구성에서 벗어나 벤처캐피털 등 민간 기관을 참여시키는 사업 방식을 채택했다. 창업지원기관별 창업자 최소 매칭제(15명 이상)를 도입하고, 기관 간 선의의 경쟁으로 창업자 발굴→육성→후속지원 등 선순환 체계로 우수 창업자를 육성한다.
또 창업지원기관 특색에 맞는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해 창업자에게 50시간 이상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최고 5000만원까지 총 사업비의 70% 이내에서 자금을 지원한다.
애플리케이션(앱), 콘텐츠, SW융합 등 지식서비스 분야 청년 창업 지원도 본격화된다. 정부는 우수 창업팀을 발굴해 사업계획 수립부터 창업, 개발 및 사업화에 이르는 전 과정을 일괄 지원하는 `스마트 벤처 창업학교`를 운영한다.
올해 75억원의 신규 예산을 확보해 창업지원 인프라를 갖춘 우수 기관을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각 1곳씩 선정해 창업기업을 중점 육성한다. 운영기관에는 향후 2년간 창업팀 육성을 위한 교육·멘토링, 사업화 등에 필요한 경비를 매년 최고 35억원까지 지원한다. 정부는 올해 단계별 경쟁 방식으로 최종 80개팀을 선정해 육성할 계획이다. 창업팀별로 전용 개발 공간과 최대 3000만원의 개발 자금을 지원하고, 4개월에 걸쳐 창업 실무, 전문가 교육·멘토링 등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창업학교 졸업기업 중 우수기업에는 추가자금을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하고, 투자유치설명회 등 정부 시책과 연계해 지원한다.
모바일·웹 앱 및 콘텐츠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스마트 앱 창작터`는 실전 창업 중심으로 개편된다. 정부는 그간 교육 중심으로 운영해온 창작터를 실전 창업 중심으로 개편하고, 모바일 분야 창업 지원 허브 기관으로 육성한다. 올해 성신여대 산학협력단 등 22개 기관을 스마트 앱 창작터로 선정하고 67억원을 투입한다. 창작터로 선정된 대학·민간 기관에 최고 3억5000만원, 특성화고는 1억원까지 각각 지원한다.
상반기에는 지역산업과 연계된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하반기에는 각 창작터에서 발굴한 예비창업팀에 앱 개발 및 사업화에 필요한 자금을 팀당 최고 5000만원까지 지원한다.
앱 창작터에서 배출한 창업팀 중 우수팀을 별도로 선발해 앱 특화 창업보육센터(BI) 입주를 지원하고, 글로벌 진출 가능성이 높은 앱은 앱 번역 및 퍼블리싱 등을 연계해 지원한다.
이준희 중기청 지식서비스창업지원과장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들이 마음껏 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 : 신선미 기자 (전자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