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ybox]벤처스퀘어와 전국 학생창업 네트워크(SSN)가 함께 하는 <스타트업 기자단>의 스타트업 인터뷰입니다.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과 열정으로 똘똘 뭉친 학생들의 기자단 활동에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graybox]
나눔 문화에 대해 조사한 통계청의 지난해 설문결과에 의하면, 기부하지 않는 이유로 63%가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를 꼽았다. 우리나라에는 기부는 재벌이나 유명인사 등 돈이 많은 사람들만 하는 특수한 활동이라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는 듯 하다. 또한 큰 금액을 기부하는 사람들만이 주목을 받고 언론에 노출된다. 기부의 진정한 의미는 금전적인 의미만을 담고 있는 것일까? 작은 관심도 기부가 된다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 ‘굿웨이브’의 이승원 대표와 진정한 기부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기부타임의 시작
‘굿웨이브’는 2013년 6월 런칭했다. 광고 시청만으로 기부를 할 수 있는 ‘기부타임’ 이라는 어플리케이션을 주된 서비스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서비스를 만들게 된 계기는 우리나라의 기부문화가 잘못된 흐름으로 가고 있다는 인식에서부터였다. 이승원 대표가 다녔던 회사에서는 월급의 일부가 강제적으로 기부가 되었는데, 기부 과정에 접근할 수 없어 문제의식을 가졌다고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기부형태는 개인 기부율이 낮아지며 언론에서는 연예인이나 큰 액수의 기부 활동만이 주목되고 있다. 이 대표는 돈이 많지 않더라도 누구나 일상 속에서 즐겁게 할 수 있는 기부문화를 정착시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돈이 없어도 할 수 있는 기부서비스
‘기부타임’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자마자 후원단체를 선택하게 된다. 그 다음 기업의 광고를 보게 되고 간단한 퀴즈를 맞추면 적립금이 쌓인다. 그 적립금의 일부가 해당 후원단체에 전달 되고 나머지 적립금은 본인에게도 쌓이게 되는 구조이다. 유저는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도’ 얼마든지 기부를 할 수 있다. 물론, 적립금 이외에도 실제 현금을 결제하여 기부할 수도 있다.
한 달에 약 20개 정도의 기업이 ‘기부타임’에 광고를 게시하고 있다. 실제로 광고의 퀴즈를 풀고 얻은 적립금만으로 후원을 하다가 정기후원자로 전환되는 사례도 많다고 한다. ‘기부타임’은 기부를 강요하지 않는다. 부담 없이 할 수 있는 부분에서부터 좀 더 나아갈 수 있게 자연스러운 기부환경을 만들어 내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기부는 거창하게 마음먹고 하는 일이 아닌 일상에서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할 수 있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또 재미있어야 하고요. 기부타임은 이러한 요소들을 적절하게 조합하고 또 발전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기부문화의 문제점을 해결
기존의 기부는 자선냄비, 지로용지, ARS 형식이 있었다. 자선냄비와 지로용지는 직접 찾아가야 하며 ARS는 시의성이 있다. 하지만 ‘기부타임’은 모바일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접근 할 수 있어 기부는 일상에서도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라는 인식을 준다. 더불어 기부한 돈이 어디로 가는지 모르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였다.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실시간 총 모금 금액, 목표인원과 현재인원, 기부현황과 기부단체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유저가 마음 놓고 기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6개월 만에 이룬 긍정적인 성과들
현재 ‘기부타임’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기부’라는 키워드로 1위를 하고 있다. 약 4만명의 회원이 있으며, 평균 월 2000건의 기부가 이루어지고 있다. 6개월 동안 12,000건의 기부가 성사된 것. 현재 굿 네이버스, 아름다운 가게, 아름다운 재단, 해피빈, 서울시자원봉사센터 등 약 20개의 기부단체와 협약이 되어있다. 6개월 밖에 되지 않은 스타트업이 이뤄냈다기엔 놀라운 성과이다. 또한 대한민국 나눔 대축제, Match Market, CSR국제컨퍼런스 등의 굵직굵직한 행사에도 참가하며 나눔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단단하게 굳히고 있는 모습이 보였다.
기부에 대한 철학
이 대표의 남다른 기부 철학도 인상적이다. “저는 페이스북의 ‘좋아요’를 통한 기부에 부정적이에요. 단순히 클릭으로 너무 쉽게 기부가 되잖아요. 이렇게 쉽게 기부를 하면 직접 자기 돈을 내서 하는 기부는 안 하려고 해요. 이런 기부는 진정한 가치를 떨어트린다고 생각합니다. 기부를 하는 사람은 최소한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했을 때 기부의 진정한 의미가 들어갈 수 있어요. 기부타임은 광고를 보고 퀴즈를 맞추는 사용자의 최소한의 노력이 들어가게 만들었어요.”
외국에는 없는 우리나라의 특징은 바로 끈끈한 정(精)이다. 옆집도 가족같이 지내면서 작은 것이라도 나누고 베푸는 따뜻한 문화가 있었다. 그러나 요즘 한국 사회에서 정이라는 단어는 멀게만 느껴진다. ‘기부타임’을 통해 우리 마음 깊은 곳에 본능적으로 잠재되어 있는 나눔을 더 많이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아래는 “일상에서의 기부” 를 보여주는 기부타임의 티져 영상이다.
글 : 김명지(벤처스퀘어 스타트업 기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