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모든 인터넷의 역사 (22) – 열린마음의 선지자들, 시장을 열다

인터넷의 선구자 밥 칸 from Wikipedia.org
인터넷의 선구자 밥 칸 from Wikipedia.org

인터넷의 상업화는 단지 사설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 기술을 구현한 다양한 상업적 제품들이 개발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산업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초에 TCP/IP 프로토콜을 구현한 기업들이 수십 개 등장하였고, 이들의 소프트웨어를 구매해서 네트워킹을 구성하는 기관이나 기업들도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또한, 일부 기업들은 솔루션을 판매하면서 네트워킹 프로토콜도 TCP/IP를 사용하지 않고 독자적인 것들을 이용하기 시작했는데, 대표적인 것들이 SNA, DECNet, 네트웨어, NetBios 등이 있다.

이런 여러 기업들이 TCP/IP를 구현하지 않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TCP/IP 자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가 부족한 것도 한 몫을 하였다.

기업의 개발자들, 연구자들의 개방성에 감동하다

1985년 이런 문제를 인식한 댄 린치(Dan Lynch)가 IAB와의 협조를 통해 어떻게 TCP/IP가 동작하며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교육하는 3일짜리 워크샵을 열게 되는데, 원하는 모든 벤더들은 참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워크샵의 연사들은 대부분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언제나 이용하는 DARPA의 연구 커뮤니티에서 초빙되었다. 250개가 넘는 벤더에서 참석하였고, 연사도 50명이 넘는 대규모 워크샵이었다.

워크샵이 끝나고 벤더에서 참석한 사람들은 이런 기술을 개발한 연구자들이 너무나 개방적이며 어떻게 동작시키고 만들면 되는지, 심지어는 현재 무엇이 문제인지에 이르기까지 남김없이 이야기해준 것에 감동을 받았다는 소회를 남겼다. 또한 연사들은 벤더들이 실제 필드에서 발견한 여러 문제점을 듣고,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개방된 분위기의 컨퍼런스와 튜토리얼, 설계 미팅과 워크샵, 스페셜 이벤트 등이 조직되어 2년 정도가 지나자 벤더들은 자신들이 구현한 TCP/IP 제품들을 가지고 모여서 어떻게 구현을 했는지 보여주며 제품들 사이의 인터넷을 구성하는 등의 데모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1988년 9월 제품간의 상호운용성을 테스트하는 최초의 트레이드 쇼가 열렸는데, 50개의 벤더가 테스트를 통과하였다. 이를 통해 경쟁제품을 만드는 곳들이라 하더라도 서로간의 네트워킹이 가능해지면서 바야흐로 거대한 네트워크의 연결이 가능한 하드웨어 적인 기반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상호운용성을 검증하는 트레이드쇼는 이후 매년 전 세계의 7군데에서 개최되면서 25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어떤 제품들이 특별한 문제없이 서로 잘 동작하는지 확인하고, 최신의 제품들과 최신 기술들을 공유하는 이벤트로 자리잡았다. 상업화를 위해 트레이드 쇼에 참가하는 노력과 별개로 벤더들은 IETF에서 1년에 3~4차례 주최하는 미팅에도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TCP/IP 프로토콜의 확장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많이 내놓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대부분 대학에서 미국 정부의 지원으로 수백 명 정도가 참가하던 미팅은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돈을 지불하기 시작하면서 참가하는 인원들이 급증하면서 1천 명이 넘는 미팅으로 확대되었고, IETF 미팅은 명실상부 네트워크 기술을 확대발전 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와 벤더들은 물론 네트워크 확대에 따른 사용자들도 수혜를 입게 된다.

정보 수퍼고속도로 프로젝트

인터넷의 상업화와 관련한 주제는 NSF에서 1988년 하버드 케네디 스쿨에서 주최한 컨퍼런스에서도 뜨겁게 논의되었다. 당시 컨퍼런스의 제목은 ‘인터넷의 상업화와 사유화(The Commercialization and Privatization of the Internet)’로 다양한 연사들이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이어 국가연구위원회(National Research Council)의 의장을 맡은 UCLA 클라인락 교수와 위원으로 활동하던 밥 칸과 데이빗 클라크는 공동으로 1988년 “국가연구네트워크를 위하여(Towards a National Research Network)”라는 제목의 리포트를 발간했는데, 이 리포트가 당시 상원의원이던 앨 고어(Al Gore)의 눈에 띄면서 미래의 정보 수퍼고속도로(information superhighway) 사업으로 명명되어 탄력을 받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인터넷의 시대가 확장되기 시작하였다.

(다음 회에 계속 …)

글 : 하이컨셉
출처 : http://goo.gl/6SYs7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