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활성 사용자수가 1억명이 넘는 메세징 서비스들이 많아지면서 각 서비스마다 스스로를 차별화 할 수 있는 아이템을 찾느라 분주합니다. 와츠앱(What’s App)은 유료이지만 군더더기 없이 사용자들간의 대화에 집중하는 모습이고 (물론 연내에 통화기능이 추가될 거라고 합니다) 위챗(WeChat)은 쇼핑과 결재 기능에 집중하며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라인(LINE)은 스티커 기능을 중심으로 높은 품질의 영상통화와 음성통화를 강조하고 있고 카카오톡은 여러가지 가족 서비스(카카오스토리 등)를 내놓으며 사용자들을 플랫폼 안에 더 오랫동안 머물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각 메세징 서비스들은 자신만의 색깔을 유지하긴 쉽지 않아보입니다. 서로가 가진 장점을 벤치마킹하여 지속적인 기능 강화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 연말쯤이 되면 모든 서비스들이 스티커 기능, 음성통화, 화상통화, 쇼핑 등 대부분의 주요 기능에서 차이를 찾아보기 힘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서비스마다 사용자들이 1억명이 넘어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서비스에서 많은 사람들이 쓰는 기능은 채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라인이 지난 연말 태국 사용자 3천만명 돌파를 즈음해 내놓은 TV 광고는 그런 시장의 흐름을 반증하듯 기능에 대한 언급 없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주는 서비스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메세징 서비스가 제공하는 많은 기능들은 결국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주기 위한 수단일 뿐입니다. 화면의 메세지가 되었건 음성 혹은 화상통화가 되었건간에 사람들이 보다 쉽게 서로에게 말을 하고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죠.
현실 세계에서 우리는 사람들과 주고받는 이야기 때문에 상처받기도 하고 때로는 치유를 받기도 합니다. “말 한마디로 천냥빚을 갚는다”는 속담은 그렇게 주고 받는 이야기가 얼마나 큰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말해줍니다. 멘토와 커피 한잔을 하면서 나누는 몇 마디의 대화는 힘든 상황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큰 힘이 되기도 합니다. 라인의 태국 TV 광고는 메세징 서비스가 그런 이야기를 전해주는 메신저(Messenger)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산업분야들은 주기(Cycle)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주기에 따라 시장은 블루오션이라 불리우기도 하고 레드오션이라 하기도 합니다. 해당 분야의 기술 성숙도에 따라 선발주자(Frontier)가 있고 후발주자(Follower)가 있습니다. 기술이 일반화되고 기능이 평준화되었을 때 그 분야에서 경쟁하는 사업자들은 소비자들에게 어떤 접근 방법을 쓰게 될까요? 오래전 이동통신 시장의 광고에서 비슷한 경험을 했고 가깝게는 애플과 삼성 등이 격돌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 시장에서 유사한 경험을 하고 있습니다.
메세징 시장은 폭발기의 끝자락에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술적인 차별화와 진보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지겠지만 사람들이 서비스를 더 열심히 쓰게하는 구심점이 되지는 않을 겁니다. 대신 서비스가 줄 수 있는 정성적인 가치를 통한 어필이 이어질 것이고 그를 통해 사람들을 서비스의 팬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늘 아침, 친구 목록에 오랫동안 있었지만 별달리 이야기를 못해본 친구에게 말을 걸어보는 건 어떨까요?
글 : NoPD
출처 : http://goo.gl/gJpfQ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