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몇 달동안 ‘몰입‘이라는 주제에 대해 생각해보고 있다.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에 출연했던 황농문 교수의 ‘공부하는 힘, 몰입‘이라는 강연을 접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자신이 지도했던 많은 학생들이 몰입을 연습하고 경험하면서 공부를 즐기게 되고, 결과적으로 학교 성적도 좋아졌다는 사실을 공유한 것인데, 학생들이 보냈다는 이메일을 하나 하나 보며 참 감동이 되었다. 그는 몰입의 경험을, ‘처음에는 도저히 못할 줄 알았는데 혼신의 노력 끝에 결국 해냈다‘는 느낌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의도적인 도전과 응전의 경험인데, 이런 성공 경험을 반복할 때마다 불연속적으로 성장하며, 더 많이 반복할수록 좋다고 했다.
참으로 옳은 말이다. 그리고 생각해 보았다. 나는 몰입을 경험하며 살고 있는가. 종종 그런 느낌을 받을 때가 있기는 하지만 그렇게 많지는 않은 것 같다. 돌이켜보면, 내가 완전히 몰입하고 있었다고 느꼈던 시기가 몇 번 있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고등학교 때이다. 영어를 일찍부터 공부했던 덕에 운좋게 외국어 고등학교에 입학했지만, 내 실력은 친구들에 비해 한참 뒤져 있었다. 첫 시험을 보고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어떻게든 위로 올라가야 했고, 그 때 내가 택했던 방법은, 오로지 공부만을 생각하는 것이었다. 내 머리가 비상한 게 아닌 바에야 남들보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었는데, 문제는 친구들 모두 학교에서 아침 일찍부터 밤 늦게까지 공부한 후, 밤 11시에 또 학원이나 독서실에 간다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내가 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쉬는 시간을 활용하고, 자습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었다. 자습 시간에는 항상 계획을 짜 놓고 시작했다. 마라톤이 아니라 100미터 달리기를 여러 번 하는 심정으로 공부했다. 그러다보면 자습 시간에 너무 바빴다. 그러고 나서 밤 11시가 다 되어 학교를 나오면서 캄캄한 하늘을 보면 기분이 좋았다. 피곤하고 지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 신이 나고 힘이 솟았다. 자습시간이 끝나버린게 아쉽다고 생각했다.
내가 고등학교 때 공부가 재미있었다고 하면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정말로 난 공부가 재미있었다. 뭘 외우고 문제를 푸는 게 재미있었다기보다는, ‘몰입’이 나를 즐겁게 하고 나에게 에너지를 주었던 것 같다. 몇 시간, 며칠동안 완전한 몰입을 경험하고 나면, 다음의 몰입이 기다려지고 더 큰 과제에 도전하고 싶어진다.
대학교에 입학하자 놀기에 바쁜데다 동시에서 신경써야 할 일들이 크게 많아지며 몰입할 기회는 많이 없어졌다. 그러다가 3학년 때 까다로운 전공 과목들을 공부하며 다시 몰입을 경험했다. 그 중 기억에 남는 수업이 문수묵 교수의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Data Structure and Algorithm Analysis)’이었는데, 까다로우면서도 오랜 시간 생각해야 풀 수 있는 과제들이 많아 답을 찾기 위해 10시간동안 컴퓨터실에 앉아 코딩하곤 했던 기억이 있다. 한 번은 밖이 시끄러웠는데 그런 것도 모르고 한참 앉아 있다가 일어나서 보니 학교 축제 기간이었다는 것을 깨달은 적도 있다.
게임빌 초기 시절도 몰입의 연속이었다. 경험이 부족해서인지 까다로운 문제가 항상 발생했고, 거의 대부분 정해진 답이 없었다. 오랜 시간동안 고민하고 생각해도 답이 나오지 않을 때는 도서관에 가서 앉아 있곤 했다. 그러다가 결국 답을 못 찾고 전문가의 도움을 빌려야 할 때도 있었지만.
MBA를 거쳐 미국 대기업에서 일을 시작하면서 도저히 할 수 없을 것 같은 일들이 닥쳤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가끔씩 몰입을 경험하곤 했다. 하지만, 아무래도 학교에 다닐 때처럼 몰입을 경험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은 것 같다.
타파스 미디어(Tapas Media) 창업자인 김창원씨가 2010년 말에 그의 블로그에 ‘몰입지점‘ 이라는 제목의 글을 쓴 적이 있는데, 그는 이 글에서, ‘우리 대부분은 직장에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시간을 보내지만, 타들어가다 만 젖은 장작처럼 완전히 몰입해서 일하지 못한다’며, ‘내가 어떤 프로젝트를 할때 정말 내 자신을 잊고 좋은 사람들과 함께 팀을 이루어 몰입하고 빠져들어서 할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고, ‘우리들의 직업적 여정은 결국 그런 몰입상태를 찾아 떠나는 여정이어야 한다‘고 글의 결론을 내렸다. 그 모든 말에 크게 공감한다.
몰입을 어떻게 하면 경험하고 훈련할 수 있는가? 황교수가 자신이 지도하던 박사과정 학생 중 한 명에게 권했던 방법 중 하나는 6개월동안 중고등학교 수학 문제집을 풀어보라는 것이었다. 그는 열심히 이를 따랐고, 몰입을 훈련했다.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회사에 취직했는데, 얼마 되지 않아 회사에 있었던 기술적 문제를 몰입적 사고로 훌륭히 해결하여 임원들에게 크게 인정을 받았다는 사례를 소개했다.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을 꾸준히 해 두면, 이를 다른 분야에도 곧 적용할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지적 재능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교육 방법으로 얼마든지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 이 강연 마지막에 그가 내린 결론이었다.
황농문 교수의 강연을 들은 후에, 오랜만에 고등학교 수학 문제집을 펴 보았다. 고등학교 수학 문제와 더불어 IQ 테스트 문제집도 보기 시작했다. 까다로운 문제들을 골라 오랫동안 생각하고 골똘히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확실히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었다.
꼭 이런 문제를 푸는 동안에만 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나같은 경우는 블로그를 쓰는 과정 중에도 몰입을 경험한다. 이 블로그에 쓴 글 중 많은 것들은 오랜 시간동안 골똘이 ‘왜 그럴까’를 생각하다가 나름대로 답을 찾았을 때 쓴 경우가 많다. 그 과정이 일종의 몰입이었고, 마침내 정리가 되어 정신 없이 타이핑을 하는 동안 몰입을 경험하곤 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몰입’을 수십 년동안 연구했던 칙센트 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는 Flow라는 책에서, 사람들은 몰입을 경험할 때 가장 행복하며(people are happiest when they are in a state of flow), 이 몰입이란 ‘어떤 활동이나 상황에 완전히 빠져들어 집중하고 있는 상태(a state of concentration or complete absorption with the activity at hand and the situation)’라고 설명했다. 아래는 그의 유명한 몰입 다이어그램이다.
스마트폰 덕분에 우리 삶이 많이 편리해지기는 했지만, 한편으로 몰입에 투자할 시간이 적어져서 우리의 행복 지수가 낮아졌는지도 모를 일이다. 일상 생활에서 충분한 몰입을 경험하고 있지 않다면, 고등학교 수학 문제집을 한 번 펴보는 것은 어떨까.
글 : 조성문
출처 : http://goo.gl/LCpC2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