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모든 인터넷의 역사 (30) – 유럽입자물리연구소와 SLAC

세계 최초의 웹 서버 (NeXT) from info.cern.ch
세계 최초의 웹 서버 (NeXT) from info.cern.ch

이제 인터넷 역사의 현장은 미국을 떠나 유럽으로 간다. 유럽에서도 스위스와 프랑스의 접경에 있는 제네바에는 과학의 역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연구소가 하나 자리를 잡고 있다. 바로 얼마 전 신의 입자로 얼려진 ‘힉스 입자(Higgs boson)’이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던 유럽입자물리연구소(Conseil Européen pour la Recherche Nucléaire, CERN)가 그것이다.

CERN은 1954년 서부 유럽의 12개 국가가 펀드를 모아서 설립하였다. CERN이라는 이름 자체는 연구소가 설립되기 이전의 위원회를 의미한 것이라서 이제는 맞지 않지만, 이후의 공식명칭을 약자로 했을 때 워낙 읽기가 좋지 않자 당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세계적인 과학자 중의 한 명이 하이젠베르크가 그냥 계속 CERN으로 부르자고 주장한 것이 받아들여져서 현재는 특별히 의미와 관계없이 CERN으로 표기하고 있다. CERN에서 세계적인 연구가 수행될 수 있었던 것에는 이와 같이 다국적인 과학자들이 모여들고, 자유로운 분위기가 있었을 뿐 아니라 엄청난 규모의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입자가속기가 건설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힉스 입자를 발견하게 만든 입자가속기를 LHC(Large Hadron Collider)라고 부르는데, 빅뱅 당시와 유사한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건설된 이 기기의 크기는 둘레가 무려 27km에 이르는 지하가속기 터널이다.

CERN은 이와 같이 세계적인 물리학자들의 요람으로도 유명하지만, 전 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또 하나의 신화가 시작된 곳이기도 하다. 그것이 바로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 이하 웹)이다. 웹은 CERN에서 일하던 물리학자인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가 1989년에 시작해서 1990년 로버트 까유(Robert Cailliau)가 합류했던 ENQUIRE라는 프로젝트에 의해 탄생하였다. ENQUIRE는 앞서 언급한 하이퍼텍스트와 유사한 개념으로 시작되지만, 처음에는 연구자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였다. 첫 번째 웹 사이트는 1991년에 공개되었다. 

팀 버너스-리의 제안서는 하이퍼텍스트의 형태로 인터넷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 핵심이었다. 이제는 익숙한 링크를 클릭하고 이로 인해서 새로운 정보를 탐색하는 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인데, 이는 당시로서는 정말 획기적인 UX였다. 오늘날로 비유하자면 아이폰이 탄생해서 처음으로 제대로 된 터치기반 인터페이스가 탄생한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인터넷이 활성화되고는 있었지만, 물리학자들이 학술정보를 효과적으로 탐색하는 것은 성가시고 까다로운 일이었다.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팀 버너스-리는 하이퍼텍스트를 적용한 것이었고, 이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로 홈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HTML 문법을 디자인하였다. 최초의 웹 서버는 스티브 잡스가 애플에서 쫓겨난 이후에 만든 넥스트(NeXT) 컴퓨터가 이용되었는데, 팀 버너스-리와 로버트 까유에 따르면 넥스트 컴퓨터의 하이퍼텍스트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멋진 객체지향 컴퓨팅 환경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그런 측면에서 스티브 잡스 역시 웹의 탄생에 엄청난 기여를 한 셈이다. 팀 버너스-리는 브라우저 편집기를 통해 웹을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 편집하는 그런 창조적인 공간으로 만들기를 원했다. 처음 만들어진 웹 사이트에는 하이퍼텍스트가 무엇이고, 어떻게 웹 페이지를 만드는지에 대한 기술적인 설명, 그리고 소스코드를 FTP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까지 걸려 있었다. 이 웹 사이트는 웹과 관련한 표준을 만들고 운영하는 W3C에 의해 보존이 되고 있는데,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팀 버너스-리가 처음으로 만들어 공개한 세계 최초의 웹 페이지

처음에는 CERN 내부에서 물리학자들이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연구논문이나 문서를 서로 쉽게 브라우징할 수 있는 용도로 쓰이던 웹 기술을 처음으로 미국에서 사용한 곳은 스탠포드 대학의 SLAC(Stanford Linear Accelerator Center)이었다. SLAC에는 특히 30만 개가 넘는 물리학 관련 문서들을 보관한 데이터베이스가 있었는데, 이는 거의 물리학자들에게는 보물창고와도 같은 역할을 하였다. 스탠포드 대학의 물리학자인 폴 쿤즈(Paul Kunz)는 SLAC의 데이터베이스를 전 세계의 물리학자들에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나름의 인스턴트 메시징 데이터베이스 질의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그 다음에는 이메일도 활용했는데, 모두들 데이터베이스 질의 프로그램을 만들어 쓰는데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고 한다. 폴 쿤즈는 1991년 9월 CERN에 방문했다가 팀 버너스-리가 웹을 데모한 것을 보고 크게 감명을 받았는데, 이를 이용한다면 전 세계의 물리학자들이 너무나 쉽게 연구논문을 브라우징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고 스탠포드로 돌아오자 C로 만들어진 CERN의 웹 서버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받아서 스탠포드 대학의 메인프레임에서 동작하도록 코드를 수정하고 적용해서 1991년 12월에 SLAC의 웹 서버가 가동된다. 1992년 2월 남부 프랑스에서 고에너지 물리학에 대한 워크샵이 열렸는데, 이 워크샵에서 팀 버너스-리가 200여 명의 물리학자들 앞에서 웹에 대해서 발표를 하였다. 그의 강의를 지루하게 듣는 표정이 역력하던 물리학자들은 발표가 끝나기 전 팀 버너스-리가 웹에 대한 데모를 하면서 SLAC 웹 서버에 접속해서 수 많은 논문들을 브라우징하는 것을 보자 모두들 넋이 나간 표정으로 보면서 모두가 웹에 열광하기 시작한다. 이들이 최초의 웹의 열광적인 지지자들이 되어 주변으로 전파시켜 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이처럼 인터넷의 역사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혁신으로 일컬어지는 웹 기술 역시 과학자들의 제한없는 공유정신에서 시작된 것이다. 

또 한 가지 웹의 탄생의 역사에서 언급해야 하는 것은 바로 이런 웹을 탄생시킨 CERN의 문화이다. CERN에 모인 물리학자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학문에만 빠진 사람들이 아니었다. 어느 누구보다 창조적이고, 열정적이며, 노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었고, 그런 문화를 즐기고 널리 퍼뜨릴 줄 알았다. CERN의 환경은 최근 구글 등이 보여주는 것과 비슷하게 음식과 음악, 그리고 놀 수 있는 장소나 이벤트가 계속되는 곳이었고, 당시로서는 파격적이고 재미있는 시도를 개방된 마음으로 쉽게 받아들인 곳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상징적인 것이 바로 CERN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LHC(Large Hedron Collider)의 약자를 완전히 다르게 풀어서 1990년 결성한 여성 그룹인 또 다른 LHC(Les Horribles Cemettes)의 존재이다. 

CERN의 그래픽 디자이너인 미셀 드 게나로(Michelle de Gennaro)가 결성을 주도하였는데, 이 그룹은 CERN의 해드로닉 페스티벌(Hadronic Festival)기간 동안 CERN의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충돌자(Collider)”라는 노래를 부르면서 스타덤에 오른다. 가사의 내용은 고에너지 물리학자의 여자친구로서 외로운 밤을 견뎌내야 하는 아픔(?)을 표현한 것인데, 가사 하나하나가 전문용어를 사용하면서도 위트가 있어서 많은 화제를 모았다. 이들은 유명세는 국제 물리학회, 세비야에서 열린 1992년 세계 엑스포, 노벨상 수상파티 등과 같은 굵직한 행사에서도 초청공연을 하는 등 하늘을 찔렀고, 주요 언론매체 등에서도 다루면서 이후 장수하는 그룹으로 음악활동을 활발하게 벌였다. 중간중간 멤버의 교체가 있었지만, 이들은 2012년 7월 12일 이들을 탄생시킨 스위스 CERN에서의 해드로닉 페스티벌에서 마지막 공연을 하면서 22년이라는 오랜 활동의 막을 내렸다. 아래 유튜브 영상은 이들의 대표곡 “충돌자(Collider)”의 뮤직비디오이다. 

이처럼 제일 고리타분할 것 같았던 물리학자들의 요람이었던 CERN은 창의적인 발상과 자유, 그리고 서로 나누는 그런 철학이 넘쳐나는 곳이었다. 1993년 4월 30일, CERN은 이들의 철학에 맞는 멋진 결정을 또 다시 내리게 되는데, 어찌보면 인터넷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었던 웹 기술을 누구나 쓸 수 있도록 권리를 자유롭게 풀어줌으로써 인터넷은 또 한 번의 커다란 전환기를 맞게 된다.

참고자료:

글 : 하이컨셉
출처 : http://goo.gl/9qckk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