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쓰는 포스팅. 그동안 공유하고 싶은 게 많았지만, 개인적 변화를 겪는 시기 동안 나 자신에게 집중하고 싶어 블로그에 손을 놓고 있었는데, 내가 배운 것을 기록하고, 또 좋은 정보를 나누고 싶은 생각에 다시 조금씩 써 보기로 한다.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머리 속의 생각을 끄집어내어 공개적인 자리에 올려놓는다는 것은 부담되는 일. 오늘 공유하고 싶은 내용은 LendingClub과 Box가 IPO에 가기까지의 여정을 그린 인포그래픽 두 개. EquityZen에서 만들었다.
1. LendingClub (Lendingclub.com)
개인간(P2P) 대출을 중개해주는 회사. 2007년에 세워졌고, 약 7년이 지난 2014년 12월 11월에 뉴욕 증시에 상장했다. 상장 당시 기업 가치는 $5.42B (약 6조원). 참고로 현재 기업 가치는 $7.62B. 시리즈 A, B에 투자했던 회사들은 50배에서 80배에 달하는 수익을 남겼으니 그 이전 엔젤 투자자들은 100배 이상의 이익을 남겼을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마지막까지 주식을 안팔았다는 가정하에. 2013년에 구글이 $133M어치의 주식을 기존 투자자들로부터 사들였다고 하는데, 직원들과 초기 투자자들은 이 때 팔아서 수익 실현을 했을 수도 있다. 맨 아래에는 각 주체가 현재 얼마만큼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지 나오는데, 이런 긴 여정 후에 창업자에게 남겨진 지분은 4.7%에 불과. 그렇다 해도 환산한 가치가 2000억원이 넘으니 나쁘지는 않다. 모건 스탠리의 전 CEO인 John. J. Mack과 전 재무장관인 래리 서머스에게 보드에 앉는 대가로 각각 0.77%, 0.32%의 지분을 주었는데, 150억~400억원의 가치에 해당. 래리 서머스는 2012년부터 보드 멤버가 되었다고 하는데, 참 대단하다 싶다.
LendingClub, IPO 까지의 여정. (출처: equityzen.com)
2. Box (Box.com)
이제 서른을 넘긴 젊은 창업자 애런 래비(Aaron Levie)가 대학교 만든 프로젝트가 계기가 되어 시작된 회사. 작년에 IPO 하겠다고 했다가 중단하면서 이슈가 됐는데, 다시 준비해서 그 때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올해 1월 23일에 상장했다. 계속 돈을 잃고 있어 위태위태해보였는데 막상 상장한 당일에는 주가가 66%나 크게 뛰었었다. 하지만 그 이후 지속적으로 떨어지기 시작해서 지금은 IPO 때보다 가치가 내려가 있다. LendingClu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장 시점에 창업자가 보유한 지분은 3.4%뿐. 2006년부터 그를 믿고 투자를 시작한 DFJ는 이후 라운드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해서 20%에 가까운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이 회사의 진짜 경쟁력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란이 많다는 것. 간단하게 보면 그냥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보안과 기업용 협업 솔루션을 더한 상품인데, 경쟁이 이미 치열한데다 기술이 다른 회사에 의해 복제되거나 대체되기 쉬워서, 과연 위대한 회사로 성장할 수 있을 지는 잘 모르겠다. 게다가 3년 전부터는 매년 1000억원 이상의 손실을 내는 중. 101 프리웨이 운전할 때 Box 광고가 항상 크게 보이는 것으로 봐서는 광고비 지출이 꽤 클 지 모르겠다고 생각했는데, 과연 SEC에 제출한 문서를 들여다보니 2013년 한 해동안 지출된 세일즈와 마케팅 비용이 $171 million (약 1900억원)으로 전체 운영 지출인 $257 million (약 2800억원)의 67%나 차지한다.
Box, IPO까지의 여정 (출처: equityzen.com)
한편, Altos Ventures의 Ho Nam 파트너가 2014년 4월에 Box를 분석해서 쓴 글에 따르면, ‘Annualized Magic Number (연간 마법 숫자)’라는 공식((금년 매출 – 전년 매출) / (전년 세일즈 & 마케팅 비용))에 대입해서 다른 SaaS 회사와 비교하면 Box 는 31 percentile이니, 아주 나쁜 편은 아니라고 설명하고 있다. 돈을 잃으면서 성장하는 SaaS 회사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는 글이므로 추천.
글 : 조성문
원문 : http://goo.gl/wRe2R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