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은 비즈니스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곳” 서영호 홍콩투자청 한국 대표가 말했다. 그가 밝힌 홍콩 시장의 최대 이점은 비즈니스 편의성이다. 특히 세제 조건을 손에 꼽았다. 홍콩은 법인세 16.5%대로 우리나라 돈 3억까지는 8.25%로 규정하고 있다. 소득세는 15%가 상한으로 자본이득세나 부가세, 양도세는 없다. 주변에 있는 싱가포르와 상해보다 세제부담이 유리한 편이다. 부가세 신고나 수입 관련 규제가 간단하다보니 사업 운영이 비교적 쉽다는 설명이다.
해외 투자자금 유입률이 전 세계 4위를 기록할 만큼 투자율도 높다. 외환 유출에 대한 규제가 비교적 간단해 홍콩을 매개로 해외에 진출하고 있다. 지리적 이점도 있다. 한국은 물론 아시아 주요 시장에 비행기로 4시간 이내 도달 가능하다. 특히 중국 주강 삼각주 초입에 위치해 홍콩은 물론 중국 본토 시장 진출에 접근이 용이하다.
뉴지스탁은 홍콩투자청과 손잡고 홍콩에 진출한 핀테크 스타트업이다. 증권사, 주식투자자와의 제휴를 통해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와 개인투자용 분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장전 종목 데이터를 분석하는 뉴지랭크, 투자 전략 알고리즘을 주식계좌와 연동하는 기술기반 콘텐츠 젠포트 등을 서비스하고 있다.
뉴지스탁이 홍콩에 진출한 이유는 중국 시장 진출과 관련이 깊다. 로보어드바이저는 디지털 자산시장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개인투자자를 주 타겟으로 한다. 중국은 미국과 함께 디지털 자산관리 시장의 양대산맥으로 손꼽히고 있다. 미국은 이미 경쟁이 치열하고 시장이 발달되어 있다. 시차나 문화적인 문제도 있었다. 중국 개인투자자는 3억 명으로 추산된다. 약 500만명으로 예상되는 우리나라보다 압도적으로 큰 시장이었다.
뉴지스탁은 방대한 데이터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중국 시장을 겨눴다. 홍콩 진출은 중국 시장으로 진입하기 전 완충지대인 셈이다. 문경록 뉴지스탁 대표는 “홍콩에서 법인을 설립한 후 자회사 형태로 중국으로 진출하는 방식이 중국을 진출 할 때 일반적인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홍콩의 조세제도와 더불어 1국가 2체제인 홍콩의 특수성도 강점으로 작용한다. 홍콩에 영국과 비슷한 경제, 법 체제를 유지하고 있어 개인과 기업을 보호하는 체계도 마련되어 있다. 단, 호콩에 익숙해지면 실제 중국에 진출했을 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니 광동지역에서 미리 온도차를 줄여나가라는 설명이다. 또 문 대표는 “규모가 큰 중국 벤처캐피털이 홍콩에 진출해 있어 홍콩에서 투자를 받고 중국에 함께 들어가는 방법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민간과 정부 주도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도 구비되어 있다. R&D 중심의 사이언스파크, 홍콩섬에 위치한 사이버포트가 대표적인 예다. 홍콩 정부는 인공지능과 로보틱스, 핀테크, 스마트시티, 보험 등을 전략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국제 금융 중심지인 만큼 핀테크와 관련된 이벤트와 지원기관도 비교적 잘 마련되어 있다는 평이다. 홍콩증권거래소의 IPO 펀드 상장, 주식형 펀드 거래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투자자 접근성도 높은 편이다. 문 대표는 “금융관련 정보와 투자자 접근성 등 여러 측면에서 핀테크 스타트업에게 홍콩은 유리한 환경”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스타트업이 대기업을 상대로 비투비 비즈니스를 할 때 비교적 정당한 평가를 받는다는 설명이다. 문 대표는 “저평가나 가격 후려치기같은 관행이 없어 비투비 비즈니스 성장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물론 홍콩이 스타트업에게 마냥 좋은 환경만은 아니다. 홍콩 역시 전통적인 대기업 재벌 중심 시장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홍콩의 10대 부자가 현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에 이른다. 지나치게 높은 생활비, 특히 ’살인적인 월세‘라고 표현할 만큼 높은 주거 임대료와 임금 수준등 은 고려해야 한다. 문 대표는 “장단이 있는 만큼 전략적으로 접근하되 친한국 정서가 강한만큼 틈새시장도 고려해볼 것”을 조언했다.
한편 드림플러스 63 핀테크 센터에서 스타트업 해외진출 세미나가 지난 4월 26일 개최됐다. 국내 스타트업 지원과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마련된 세미나에서는 홍콩과 유럽, 일본, 진출지원 기관과 스타트업의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로 꾸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