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창업지원정책, 전문가에게 묻다➄] “멋있지 않은 것도 지원해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이민석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학장은 “공공은 민간이 잘 하고 있는 부분은 침범하지 않되 민간 차원에서 눈길을 두지 않는 영역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창업 교육 역시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영역을 메워주는 것이 공공의 역할로 봤다.
이 학장은 “현재까지 공공이 시행한 정책 중 서울창업허브 방식처럼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이 뒷받침하는 방향은 긍정적으로 본다”며 “이 같은 기조가 확산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서울창업허브 교육 분야는 전문 분야별 민간 파트너스 44곳이 한 해 동안 70개 커리큘럼을 운영한 바 있다. 이처럼 정책 기조가 민간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상황에서 “이제는 실수요자인 스타트업에 꼭 필요한 교육을 찾고 만족도를 끌어올리는 게 중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이 학장은 현재 창업 교육의 가장 큰 문제는 “창업 비경험자가 진행하는 교육”이라고 짚었다. 이 경우 실제 창업에 필요한 교육과 동떨어져 스타트업 입장에선 교육 효과도 미미한 경우도 있다. 용어나 인력 구성, 일하는 배경이 달라 조언의 결이 달라지기도 한다. 실질적으로 자신의 상황에 맞는 멘토링이나 교육을 찾는 것이 어려운 것도 그런 이유다.
이 학장은 “성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정교하게 다듬고 수요자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재편하는 것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전했다. 공공이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민간에 골고루 배분하는 방식보다 실 수요자인 스타트업의 요구를 반영해 교육의 질을 높이는 방안이다. 공공이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전 수요자들의 요구를 먼저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 프로그램을 결정한다면 공급자 또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또 교육 수요자가 단도직입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공개하는 방안을 추천했다. 전반적인 수업 내용, 만족도는 물론 ‘지인에게도 교육을 권하겠느냐’고 직접 묻고 교육 단위별로 결과를 공개한다면 기관이 적절한 대상을 선정해 교육을 진행했는지 모두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크로스 평가로 교육 프로그램 운영사를 선정하는 방안도 있다. 교육 프로그램 운영사 2개 사를 선정하는 데 10개사가 참여했다고 가정한다면, 10개 사 모두에 투표권을 주고 선정하는 방식이다. 이 학장은 “이너써클 내에서 잘하는 사람들에게 표를 줄 수밖에 없다”며 “공정한 경쟁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면 운영사로 선정되지 않아도 추후 미흡한 점을 보완해오는 등 서로 발전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네트워킹에 대한 제언도 이어갔다. 이 학장은 “스타트업 네트워킹이 겉돌지 않도록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짚었다. 서울창업허브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47개 창업센터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해 서로에게 필요한 생태계 구성원을 연결하고 있다. 스타트업은 물론 대기업, 베트남 등 글로벌 기관과 손잡고 네트워크 접점을 만들고 있다.
투자 부문에서는 “이제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어야 할 때”라며 “서울시가 나서서 공격적으로 투자한다면 믿을만한 결정이라는 사인을 민간에 줄 수 있다”고 했다. 올해 서울시는 1조 2천억 규모 서울미래 혁신성장 펀드를 조성해 미래 유망 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재창업, 소셜벤처는 직접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 학장은 “공공 투자 정책 중 가장 긍정적으로 보는 사례”라며 “펀드 운용 정책을 수수료가 아닌 성과제로 운영하는 방식도 고려해보면 좋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서울창업허브는 올해 서울시 운영 센터 47개 운영 현황과 창업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창업통합 플랫폼을 5월 오픈할 예정이다. 이 학장은 사용성을 끌어올리는 게 관건이라고 봤다. 이 학장은 “투자자가 궁금해하는 스타트업 정보와 스타트업에 필요한 투자사 정보가 있으면 좋다”며 “단순 나열이 아니라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검색 정확도 개선 등 사용성을 높이고 현실화한 정보를 모으면 좋겠다”고 제언했다.
이민석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학장은 2000년대 초 팜팜테크 CTO를 거쳐 NHN 넥스트 학장, 국민대 소프트웨어 학부 교수로 재작 중이다. 지난해 국민대 창업선도대학장을 거쳐 현재는 과기부 산하 비영리재단 이노베이션아카데미에서 소프트웨어 인재양성과 생태계 지원에 힘쓰고 있다.
[서울시창업지원정책, 전문가에게 묻다]
- “초등학생부터 창업 교육 필요하다” 김홍일 디캠프 센터장
- “글로벌 인재 끌어들일 정책 필요해” 김광현 창업진흥원장
- “서울시가 스타트업 ‘만남의 장’ 만들어줘야” 김종술 한국벤처캐피탈협회 상무
- 글로벌 진출 지원 이렇게 해라 김유진 스파크랩 대표
- “이제는 수요자 중심으로 창업 교육 판 짤 때”이민석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학장
- “좀비 창업자 막으려면.. 선정 단계에서 기업가 정신 살펴야” 고영하 엔젤투자협회장
- “소외된 분야에도 정부 지원 흘러들어가야” 제현주 옐로우독 대표
- “생존 유지가 아닌 기업에 필요한 핀포인트 지원 필요” 목진건 스파크플러스 대표
- “전문 인재 끌어들일 수 있는 창업 환경 만들어야” 한정화 아산나눔재단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