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트렌드 리포트 2021’ 스타트업 인력난 상승

 

스타트업얼라이언스(센터장 최항집)와 오픈서베이(대표 황희영)가 ‘스타트업 트렌드 리포트 2021’을 발표했다. 스타트업 트렌드 리포트는 2014년부터 스타트업얼라이언스와 오픈서베이가 공동 시행해 온 설문조사로, 매년 동일한 질문에 대한 답변의 변화를 분석해 업계 트렌드를 파악한다.

이번 설문조사는 대한민국 스타트업 생태계 참여자의 인식과 현실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8월 5일부터 19일까지 총 15일간 오픈서베이를 통해 진행됐다. 창업자 164명, 대기업 재직자 250명, 스타트업 재직자 250명, 취업준비생 200명이 해당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 올해 스타트업 생태계는 작년보다 8점 오른 ‘79점’…‘투자 유치’는 여전히 숙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주춤했던 스타트업 생태계는 올해 긍정적인 분위기로 전환됐다. 올해 스타트업 생태계 분위기에 대한 인식은 79점으로 지난해 71점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생태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한 이유로는 ‘사회적 인식 개선’이 34.7%로 가장 많았다. 생태계를 부정적으로 인식한 이유로는 ‘벤처캐피탈의 미온적 지원’이 36.4%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벤처투자액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음에도 투자 유치는 여전히 스타트업 생태계가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창업자들은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에 있어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하는 점으로 ‘기반자금 확보·투자활성화(38.4%)’를 뽑았다. 다음으로 규제완화(34.8%)와 우수인력 확보(33.5%)가 뒤를 이었다. 창업자들은 투자 유치 시 회사 가치(밸류에이션, Valuation) 산정과 인정(41.5%)가 가장 어렵다고 응답했다.

스타트업 생태계의 긍정적 인식으로 인해 스타트업 취업 및 이직 선호도도 소폭 높아졌다. 대기업 재직자가 스타트업 이직을 고려하는 비율(19.2%)은 전년 조사 대비 소폭 증가(+1.6%p)했다. 대기업 재직자들은 ‘스타트업을 ‘혁신적인·창의적인(33.2%)’, ‘젊은·새로운(24.4%)’ 이미지로 보고 있으며, 스타트업의 ‘불안정한·불투명한’ 이미지가 작년 22.6%에서 올해 19.6%로 감소했다.

취업준비생들의 스타트업 이직·취업 고려율 역시 전년 조사(23.0%)에 비해 7.5%p오른 30.5%를 기록했다. 창업고려율을 보면 대기업 재직자는 34.0%로 전년 조사 대비 하락(-8.4%p)했다. 취업준비생의 창업고려율은 35.5%로 전년 조사와 비슷했다.

스타트업 재직자의 경우 44.4%가 스타트업 생활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조직 문화(38.8%)’는 만족스럽지만 ‘급여 및 복리 후생(30.4%)’과 ‘이끌어 줄 수 있는 사람/사수의 부족(27.2%)’을 부정적인 요소로 꼽았다.

‘내년에는 스타트업 생태계 분위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바라본 창업자는 79.9%나 됐다. 지난해 57.8% 대비 대폭 늘어난(+22.1%p) 수치다. 코로나19 장기화에도 백신 접종 및 단계적 일상회복에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회적으로 창업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시장 1위가 된 스타트업들의 성공사례가 들리며 생태계 전반의 분위기를 활기차게 해주고 있다는 응답도 나왔다.

◆ 창업가 출신 투자자가 후배 스타트업에 투자…‘스타트업 생태계’ 선순환 구조 자리잡아

가장 적극적인 정부기관과 기업, 가장 선호하는 벤처캐피탈(VC), 액셀러레이터는 벤처 1세대 출신들이 강세였다. 스타트업 지원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을 묻는 설문에서는 네이버(31.7%)가 6년 연속 1위를 유지했다. 카카오(15.9%)는 2위를 차지했지만 지난해(21.1%)보다 응답률이 소폭 줄었다(-5.1%p).

가장 선호하는 VC를 묻는 질문에는 알토스벤처스(20.7%)가 지난해에 이어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카카오벤처스(18.9%), 소프트뱅크벤처스(14.6%)가 뒤를 이었다.

가장 선호하는 액셀러레이터로는 프라이머(18.9%)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퓨처플레이(10.4%)와 매쉬업엔젤스(10.4%)가 공동 2위에 안착하며 창업가 출신 액셀러레이터들이 약진했다. 벤처 1세대가 후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스타트업 생태계 선순환 구조가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 역할 평가는 69점으로 전년(66.5점)보다 소폭 올랐다. 가장 적극적인 정부기관으로는 창업진흥원(32.3%)과 서울산업진흥원(14.0%)이 순위권에 들어왔다. 규제와 관련해서는 네거티브 규제 등적정한 산업 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원격의료와 노동법·근로기준법에서 규제를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시장 1위 스타트업의 인지도는 더욱 커졌다. 창업자들은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으로 당근마켓을 1순위로 꼽았다. 토스(비바리퍼블리카)가 그 뒤를 이었다. 당근마켓과 토스는 창업자, 스타트업 재직자, 대기업 재직자, 취업준비생 네 그룹에서 상위권으로 언급됐다. 이미 스타트업 반열에서 벗어난 카카오와 배달의민족(우아한형제들) 등도 꾸준히 거론됐다.

◆ 창업자 10명 중 7명 “작년에 비해 인력난 심해졌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가장 뜨거운 감자인 ‘인력난’에 대해 물었다.

창업자 65.2%는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70.1%가 전년 대비 인력난이 심각해졌다고 응답했다. 스타트업 재직자는 54.4%가 인력난을 체감하고 있고, 46.8%가 작년보다 인력난이 심각해졌다고 답했다.

특히 창업자는 ▲연구·개발 ▲정보기술·전산·IT ▲마케팅·홍보 직군에서 채용 어려움을 겪고 있다.

창업자들은 중요한 채용 영향 요인으로 금전적 보상 (40.9%), 창업자 및 기업 인지도 (26.2%)를 꼽았다. 하지만 실제로 기업 내 채용에서 활용하는 채용요인은 기업이 추구하는 비전 및 창업자 철학 (72.6%)과 수평적 조직문화 (61.6%)가 가장 많았다.

스타트업 재직자는 스타트업으로 이직 시 금전적 보상(44.8%), 기업이 추구하는 비전 및 창업자 철학(19.2%), 복지(17.2%) 순으로 신경쓸 것이라고 응답했다. 대기업 재직자는 스타트업으로 이직 시 금전적 보상을 고려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8.8%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기업이 추구하는 비전 및 창업자 철학(13.6%), 복지(11.2%) 순으로 신경 쓸 것이라고 응답했다.

실제로 최근 5년 내 회사를 이직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스타트업 재직자는 65.6%가 금전적 보상을 고려하였고, 52.1%는 수평적 조직문화를 고려했다고 응답했다. 대기업 재직자는 86.3%가 이직할 때 금전적 보상을 가장 많이 고려했고, 이어 복지(67.4%)를 신경썼다. 즉, 실제 이직을 고려할 때 금전적 보상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스타트업 재직자는 수평적 조직문화를, 대기업 재직자는 복지를 신경썼다.

최항집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센터장은 “스타트업 인력난과 투자 쏠림 현상 등 해결 과제가 남아있지만 코로나19로 침체되었던 스타트업 생태계가 올해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며 “특히 정부, 대기업, 투자자, 스타트업 간 생태계 선순환 구조가 자리잡고 있고 토스, 당근마켓 등 스타트업 성공사례가 늘어나 사회적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은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스타트업 트렌드 리포트 2021 전문은 스타트업얼라이언스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다.

 

관련기사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