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미국 증권가에서 “FANG(Facebook, Amazon, Netflix, Google)이 가고 PULPS가 부상한다”는 얘기가 전해졌다. 여기서 PULPS가 가리키는 것은 핀터레스트, 우버, 리프트, 팔란티어, 슬랙. 각각 이미지 기반 소셜네트워크, 승차 공유 플랫폼 2곳,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실시간 업무 메신저 앱에 해당한다. 모두 이미 몇 년 전부터 유니콘에 등극한 곳으로 리프트와 핀터레스트, 우버는 지난 3월 잇달아 IPO에 나섰고 팔란티어와 슬랙 역시 올해 내 상장을 계획하고 있다. 그밖에 ‘테크IPO러시(Tech IPO Rush)’라는 표현이 돌만큼 미국 내 테크스타트업의 기업공개 소식이 줄을 잇고 있다. 국내와 달리 이처럼 호황을 누리는 미국 IPO시장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업력 평균 10년, 상장 늦어진다=2013년 설립된 슬랙은 올해로 설립 7년차를 맞아 PULPS 사이에서는 업력이 가장 짧다. 리프트와 우버, 핀터레스트는 8~11년차이며 팔란티어는 2003년 설립돼 올해로 17년차를 맞았다. 5개 기업이 기업공개를 결정하기까지 짧게는 7년, 길게는 17년이 걸린 것. 이는 한 세대 앞서 증권시장 주도로 자리매김한 FANG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FANG 중 IPO 당시 업력이 7년을 넘은 곳은 8년차이던 페이스북뿐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뉴욕타임스는 “닷컴버블이 한창이던 1990~2000년대에는 인터넷기업의 주가가 폭등하면서 신생 기업까지 주식시장에 뛰어들었다. 이 때문에 회사 설립 이후 IPO까지 평균 소요 기간이 3년에 불과했다”며 최근 상장이 늦어진 것은 “기업공개에 따르는 감시와 제약을 꺼리기 때문이거나 벤처캐피털을 비롯한 초기 투자자와 메가펀드 덕에 비상장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자금이 유입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를 두고 “상장 전까지의 업력이 길어진 덕분에 신규 투자자는 기업의 시장성을 가늠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얻게 됐다”는 긍정적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나스닥·뉴욕증시, 테크기업 쟁탈전=전통적으로 뉴욕증권거래소는 업력이 길고 거대 자본을 기반 삼은 대기업 중심인 데 반해 나스닥은 소규모 자본 스타트업이나 비상장 기업에도 열려 있어 벤처기업 특히 하이테크기업을 위한 시장으로 여겨졌다. 벤처기업으로 시작한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이 뉴욕증시 상장 이후에도 여전히 나스닥을 지키고 있는 것도 하이테크 벤처기업 이미지를 고수하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나올 정도. 최근에도 비디오회의 플랫폼 ‘줌’과 승차공유 ‘리프트’ 모두 나스닥에서 우선 공개를 결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해 IPO에 나섰던 스냅과 스포티파이가 나스닥 대신 뉴욕증시를 먼저 택한 데 이어 핀터레스트와 슬랙도 같은 결정을 내렸다. 이를 두고 월스트리스저널은 “뉴욕증권거래소가 핀터레스트를 끌어오려고 배너 광고를 띄우는 등 마케팅 패키지를 제안했다. 최근 들어 두 거래소가 비금전적 혜택을 마련하거나 복장 규정, 상장식 장소 변경을 비롯 기존 룰을 어기면서까지 테크 스타트업의 구미에 맞추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CNBC는 “나스닥이 2012년 페이스북 IPO 당시 기술적 문제로 주식 거래 일정에 차질을 빚은 이후로 테크 기업들이 기업공개에 있어 나스닥보다는 뉴욕증시를 선호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위기? 기회? 적자상장=리프트는 지난해 21억 6,000만 달러 매출을 올렸으나 9억 1,100만 달러 적자를 낸 바 있고 우버는 3년간 영업적자 1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슬랙 역시 1억 4,010만 달러로 두 곳에 비해서는 적지만 몇 해째 적자세를 이어가고 있다. 꾸준히 매출은 올랐지만 그만큼 사업 확대에 따른 투자비용 역시 늘어났기 때문. 심지어 우버는 IPO 신청 당시 적자 개선과 이윤 증대를 위해 “차량 공유뿐 아니라 식사 배달, 배송, 전기 스쿠터, 자율주행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지만 이는 모두 증명되지 않은 새로운 시도”라며 “이것이 실패하면 비용 보전이나 수익성 향상 모두 어려울 수 있다”고 투자자에 경고를 보내기도 했다.
이에 에린 깁스 S&P투자자문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마켓인사이더를 통해 “어차피 기업은 투자자가 수익을 보라고 기업공개에 나서는 게 아니다. 빚을 갚거나 사모펀드에 상환하기 위해 혹은 사업확대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며 IPO에 대한 과장된 기대를 경계한 바 있다. 뉴욕타임스는 “최근의 IPO건을 보면 대부분 초기 투자자가 기업가치 급상승으로 인한 이득을 모두 빨아들이고 있다”며 신규 투자자의 손실을 우려하기도 했다.
그러나 다니엘 아이브스 웨드부시 증권 애널리스트는 CBS뉴스를 통해 “언제 수익이 날지도 모르면서 사업을 키우는 것은 우버를 비롯한 많은 테크 스타트업이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성장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현재의 적자와 IPO 직후 가치 급락에 대해 “이들 기업은 더 넓은 시장 기회로 향하는 첫 번째 관문을 지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