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투자, 기업도 VC·PE도 창조적 상상력 갖춰야”

“투자 주체가 살아남으려면 상상력을 동원해 진정한 모험 투자를 택해야 한다. 단순히 투자금을 전하고 마는 것이 아니라 이후에 투자기업에 무엇을 더 해줘야 할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서종군 한국성장금융 투자운용본부장이 28일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주최한 북클럽에서 국내 벤처투자 시장에 대한 예측을 밝혔다. “적어도 5년 내에 기업이 투자 시장에서 갑이 될 것이다. 자금 소스가 늘어나면서 기업이 벤처캐피털(VC)을 줄 세우고 누가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날 테헤란로 북클럽에서는 도서 투자의 시계 소개에 이어 국내 벤처투자에 대한 패널 토의가 이어졌다. 투자의 시계는 벤처투자 전문가 16인이 실무 경험과 사례를 중심으로 업계 분석과 철학을 담아낸 책이다. 편집자 유태양 전 매일경제 기자, 공저자 도용환 스틱인베스트먼트 회장, 정성인 한국벤처캐피털 협회장, 정장근 JKL파트너스 대표, 구본천 LB인베스트먼트 대표, 서종군 한국성장금융 투자운용본부장, 윤건수 DSC인베스트먼트 대표는 패널 토의에 참여, VC·PE 운용 철학과 분석을 전했다.

패널 토의는 창업자나 엑셀러레이터 입장에서 투자 유치 성공을 위해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묻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한 참가자가 스타트업이 가진 아이템이나 미래 시장에 VC 운용사가 공감하지 못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묻자 정장근 대표는 “현재 회사 상황을 설명하지 말고 미래를 가정한 내용을 전달하라”고 조언했다. 이어 “특정 수준 매출에 도달하면 시장과 경쟁자는 어떻게 형성될지, 투자금을 확보했다면 회사는 어떻게 성장했을지를 상상해볼 것”을 주문했다. 그는 “마찬가지로 VC 운용사도 상상력을 발휘해야 한다”며 산업 트렌드를 분석해 유망산업·기업을 물색, 투자를 선제안하는 탑다운 방식도 언급했다.

구본천 대표 역시 “스타일쉐어 투자에 앞서 가입자 증가율을 보고 성장가능성을 가늠해야 했다”며 “VC 운용사는 상상에 의존해 눈에 보이지 않는 시장을 포착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감각적으로 투자를 진행하는 건 아니라는 설명이 이어졌다. 정장근 대표는 “더욱이 PE에게 그런 투자 방식은 불가능에 가깝다”며 “정량적, 논리적 데이터는 언제나 고려 대상이다. 사업계획서 하나만 들고 오면 당연히 투자가 이뤄질 수 없다”고 말했다. 도영환 대표는 과거 골프존 투자 결정을 내렸던 경험을 떠올렸다. 자신은 투자에 반대했지만 나머지 심사역이 모두 찬성해 결국 200억 규모 투자를 진행, 4,000억의 수익이 돌아왔다는 것. 그러면서 “개인의 호불호가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며 “다양한 전공 분야 출신 심사역이 모여 집단지성을 발휘하게 하라”고 조언했다. “PE는 성장과 수익에 집중하더라도 VC는 다양하고 과감한 시도가 필요하다”고도 덧붙였다.

VC와 PE 운용사가 투자 결정을 내릴 때 최우선시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묻자 “보유인재와 경영진”이라는 데 의견이 모였다. 도용환 회장이 “경영자의 의지, 인내심, 상황 돌파력”을 언급하자 정장근 대표가 투자 단계별로 설명을 이어갔다. “엔젤투자자는 인력밖에 볼 수 없다. 그 외 단계에서도 사실상 마찬가지”라며 “시드투자 단계에서는 기술을, 벤처캐피털 투자 단계에서는 시장 성숙도와 성장가능성을 보는 편이다. 시리즈B 이후부터는 수익률에 초점을 맞춘다”고 덧붙였다. 즉 회사가 성장할수록 투자자의 시각은 사람 중심에서 수익률 중심으로 바뀐다는 것.

끝으로 VC 증가와 사회적 관심 확대에 대한 의견도 오갔다. 도용환 대표는 “어쨌든 VC 운용사도 기업”이라며 “사업을 지속하는 것이 목표기 때문에 준비 없이 시작하는 VC는 투자기업에 도움도 될 수 없을뿐더러 사회적 낭비에 가깝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투자를 받고자 하는 스타트업이라면 일정한 시스템을 갖춘 스타트업 전문 운용사를 물색하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정성인 협회장은 “VC에 여전히 곱지 않은 시선이 많다”며 “투자금 덕에 얻은 수익을 공유하는 것을 꺼리거나 정부 지원금을 운용사가 가로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내 벤처업계는 정부 주도로 성장했기 때문에 벤처투자나 금융이 하나의 산업이라는 인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여전히 벤처투자와 펀드의 높은 정부의존도를 개선, 민간 독립 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의견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