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 놀아주는 로봇까지… ‘펫테크’의 현재는?

26일 서울창업디딤터가 스마트 펫테크&파크 포럼을 열고 4차 산업혁명과 펫테크 산업발전, 창업 트렌드를 소개했다. 포럼의 문을 연 윤준수 엠엔씨파트너 대표는 “펫테크는 우리나라도 국제 무대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분야다. 우수 국내 ICT기술을 활용해 본격 육성에 나선다면 3~5년 안에 글로벌 탑 위치로 갈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

“국내 가구 중 25%가 펫팸(pet+family)족이다. 지난해 크라우드 펀딩계에서도 반려동물이 주요 이슈로 떠오르면서 펀딩 목표 금액 달성은 물론이고 3000%를 초과하는 등 펀딩에 실패한 경우는 한 건도 없었다.” 그러면서 윤 대표가 꼽은 펫테크 시장 주요 분야는 음식, 헬스, 금융, 리빙, 산책, 놀이, 장례, 노후 8가지. 이 중 규모가 제일 큰 분야는 푸드 시장이지만 가장 급속하게 성장하는 분야는 ‘장례’라는 판단이다.

대표적으로 언급된 곳은 온라인으로 반려동물 장례 상담서비스를 중개하는 ‘21그램.’ 21그램은 반려동물이 사망하면 전문 상담사를 보내 반려동물 사체처리부터 장례절차, 비용에 관해 안내한다. 윤 대표는 “국내는 땅은 좁은데 반려동물 개체수는 그에 비해 매우 많다. 님비 현상이 나타날 만큼 반려동물 장례에 관한 갈등이 사회 문제로 떠오르면서 이와 관련된 산업은 지속될 가능성과 필요성이 모두 높다. 법적인 이슈가 걸려 있지만 이동식 화장차량을 만들어 집 앞에서 바로 화장 처리하는 서비스도 유망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밖에는 반려동물 사후 펫로스 증후군을 겪는 주인을 위한 심리상담 서비스가 국내서는 아직 마련되지 않았지만 해외서는 이미 마련돼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펫과 테크의 만남이 활발한 만큼 헬스 분야 성장도 주목할 만하다. 반려동물용 체외진단 의료기기를 개발한 ‘유리벳코리아’와 비접촉식 체온기를 개발한 ‘선바이오연구소’를 대표적 사례로 꼽은 윤준수 대표는 “몇해 전만 해도 서울에서 MRI를 갖춘 동물병원은 한 곳뿐이었지만 현재는 8곳으로 늘었다. 사람을 위한 의료 기술이 반려동물로 확장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체 의료 기술은 아무리 발전해도 실제 적용까지 긴 시간이 걸리지만 반려동물 의료는 전 임상 단계에서도 사업화할 수 있다. 지속적인 임상검증과 동물용 의료기기 인증은 필요하겠지만 초기 스타트업도 충분히 진입 가능한 영역이다.”

놀이용 로봇 기술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펫스마트볼을 표방하는 ‘페비’는 카메라와 양방향 오디오/마이크를 장착, 스마트폰 앱을 통해 반려견을 모니터링하거나 말을 걸 수 있게하는 동시에 볼이 스스로 움직이며 반려동물의 활동량을 늘려주기도 한다. 윤 대표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1인 가구가 늘면서 실내에 홀로 남겨진 반려견을 어떻게 돌봐야 하는지도 주된 고민거리로 꼽히곤 한다”며 “사람 대신 반려동물을 돌봐줄 수 있는 로봇은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매력적인 분야”라고 덧붙였다. 그밖에 반려동물을 보살피는 로봇뿐 아니라 펫로스, 견주 고령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반려동물을 아예 대체하는 로봇 반려동물에 대한 니즈도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윤준수 대표는 반려동물 산업을 위한 자리가 부족함을 지적하며 관련 정책과 지원 마련이 필요함을 역설하기도 했다. “창업 포털 K-스타트업에 검색해봐도 펫산업에 관한 정보는 찾아보기 힘들다. 경기도가 2017년 시작한 창업/사업화 지원 사업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지원책도 없으며 규제에 걸려 본격적인 사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곳도 많다.” 이러한 상황의 이유로 그가 꼽는 것은 국내는 아직 반려동물을 독자적인 산업으로 보는 인식이 미비하고 유효한 비즈니스 모델과 사업화 방안이 무엇인지 논의하는 자리도 부족하다는 점.

“해답은 산업을 키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펫테크만을 위한 플랫폼이 필요하다.” 때문에 이날 열린 포럼과 같이 펫테크 발전 동향을 분석하고 우수 비즈니스 모델을 전파하는 한편 기술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이 이를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 베드를 마련해야 한다는 게 윤 대표의 생각이다. “제주에서 매년 열리는 반려동물페스티벌 역시 좋은 참고 사례다. 이러한 이벤트는 펫산업 저변을 확대하고 공론을 이어갈 좋은 기회”라며 그는 “지자체가 나서 지역 사회와 교감할 수 있는 밀착형 사업을 지속하는 동시에 창업/창직 전문기관과 연계해 교육, 실습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유기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포럼에서는 이어 펫테크 창업사례를 소개하기는 시간도 마련됐다. 연사로 나선 박대흥 텍사바이오 대표와 허성호 인투씨엔에스 대표가 각각 사료 고급화 트렌드와 사료 선정 기준, 반려동물 건강관리 앱을 알린 것. 동시에 강연장 밖에서는 애견 뷰티플랫폼 고펫을 운영하는 ‘펫이지’, 해외 여행 검역 대행 서비스 ‘날라주’를 비롯 5개 펫테크 스타트업이 부스를 마련하고 각사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