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급함 내려놓고 ‘셀레브’다움 지키겠다

“예전에 비해 인터뷰 포맷이 흔해지고 경쟁할 크리에이터와 콘텐츠가 많아진 것은 맞다. 게다가 내부 인원 변동이 겹치면서 우여곡절도 겪었다. 하지만 셀레브 초창기부터 함께 성장해온 만큼 다같이 쌓아온 것을 성급히 포기하고 싶지 않았다.” 항상 질문을 던지던 쪽에 서있던 셀레브의 세 PD들이 이번에는 답을 하는 자리에 앉았다.

왼쪽부터 이승훈 셀레브 콘텐츠제작실 실장, 김한솔 위아워어스 PD, 최동주 바이어스 PD

이승훈 실장은 다큐멘터리 제작사에서 일하다 2016년 셀레브에 입사, 셀레브 메인 채널에서 제작을 담당한 뒤로 지금은 CP로서 셀레브 콘텐츠 전반을 살피고 있다. 김한솔 PD 역시 같은 해 합류, 지금은 ‘위아워어스’ 채널을 통해 시즌1부터 콘텐츠 제작을 담당해왔다. 마지막으로 최동주 PD는 1인 미디어를 운영하다 2017년 합류해 ‘바이어스’ 책임 PD로 다양한 아티스트와 음악에 관한 콘텐츠를 선보이는 중이다. 이렇게 세 PD는 모두 셀레브의 기존 멤버가 지난 2월 법인을 설립, 새로운 시작을 알릴 때 마찬가지로 공동 창업자로서 함께 했던 이들이다.

“내외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가 있었지만 정으로 이겨낸 것 같다. 박민균 대표가 새로 들어오면서 영어 이름으로 서로를 부른다든지 좀 더 수평적인 문화를 만들려는 시도도 있었다. 좋은 사람들이 아직 많이 남아있기에 서로 도우며 꾸준히 영상을 만들고 있다”고 김한솔 PD는 말한다. 그러면서 “이제는 멀리 보려 한다. 처음이나 지금이나 조회수, 구독자수가 낮으면 속상하기는 마찬가지다. 특히 신규 채널 영상,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출연자나 이슈 영상은 반응이 늦다”며 그러나 “나중에라도 영상이 붐업되는 경우도 많았기에 조회수에 연연하지 말자는 생각이 들었다. ‘잘될 것은 어떻게 해도 잘 된다, 원래 하던 대로 하자’는 생각이다.”

그녀가 말한 ‘원래 하던 대로’란 인물 중심 콘텐츠라는 셀레브의 핵심 가치를 말한다. 셀레브는 3년 전 노승훈 씨앤피푸드 대표 인터뷰 영상을 시작으로 다큐멘터리, 숏 폼, 롱 폼 가리지 않고 인터뷰이의 삶과 이야기를 전하는 데 집중해왔다. 김한솔 PD는 “처음 채널을 론칭할 때는 도전, 동기부여라는 키워드가 핫했다”고 전한다. “해외서는 TED 같이 다양한 분야 사람들이 자신의 성장 과정을 전하는 강연이 인기를 끌었다. 비슷한 콘텐츠가 국내에도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이승훈 실장은 “이런 키워드나 인터뷰 포맷이 이제 많아져서 조금 식상하게 느껴질 수는 있다. 그러나 다양한 인생관과 철학을 우리만의 방식으로 풀어낸다면 차별성을 지킬 수 있을 거라 본다”고 덧붙였다.

김의성 배우 인터뷰 화면. 출처 – 셀레브 유튜브 채널 캡처

때문인지 셀레브는 누적 조회수 8,000만을 넘긴 메인 인터뷰 채널뿐 아니라 아티스트의 음악과 이면을 담은 ‘바이어스’, 자신만의 신념을 가진 여성의 이야기 ‘위아워어스’ 같은 특화 채널도 보유하고 있다. 채널마다 개성이 강한 만큼 전하려는 메시지는 조금씩 다르다. 바이어스(BIAS) 채널은 이름에서 느껴지듯 제작자의 주관적인 시선으로 아티스트의 이면을 들춰내고자 한다. 최동주 PD는 “다른 채널에서 볼 수 없었던 아티스트의 모습을 비추되 모든 사람이 인정할 만한 점을 짚어주려 했다”며 “바이어스에 나왔다면 믿고 듣는 아티스트라는 느낌을 주고 싶다”고 밝혔다.

이제 세번째 시즌을 앞둔 위아워어스는 각자 스타일과 신념을 갖고 사는 다양한 직업의 여성들을 소개한다. 지난해 초 공개된 시즌1에서는 타투이스트, 파티쉐, 뮤지션, 작가, 포토그래퍼로 활동하는 5인을, 지난 4월 선보인 시즌2에서는 모델, 요리사, 영화감독, 마케터, 뮤지션의 이야기를 담았다. “흔히 성공은 하나의 잣대로 통일해 판단하기 쉽지만 하고 싶은 일을 하며 다양한 삶을 택한 인물을 보고 시청자가 ‘저게 내 얘기가 될 수 있어’라고 느끼길 바란다”는 것이 김한솔 PD의 설명.

인터뷰이를 섭외하는 기준이 분명하게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인의 영역에서 얼마나 커리어를 쌓았고 다른 이들로부터 ‘리스펙트’를 받고 있어야 한다는 나름의 원칙은 있다. 또 담당 PD가 각자 알아서 섭외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 모든 PD가 후보 인물에 대해 찾아보고 코멘트한 다음 최종적으로 인터뷰이를 결정한다는 것. 그 다음엔 여전히 큰 고비, 실제 섭외 단계가 남아 있다. “셀레브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을 때는 정말 맨땅에 헤딩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전화, 메일은 기본이고 필요하면 직접 찾아가기도 했다.” 따라서 촬영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끈질기게 연락을 이어가는 것밖에는 답이 없지만 다른 한 PD는 연락을 차단 당한 적도 있다는 후문. 

다행히 요즘은 인터뷰가 익숙한 콘텐츠로 자리잡으면서 섭외도 비교적 수월해졌고 먼저 요청을 하는 곳도 늘었다는 설명이다. 빌리 아일리시, 유나(YUNA) 같은 해외 뮤지션도 만났다는 최동주 PD는 “내한 시기가 맞물려 국내 배급사와 연결, 어렵지 않게 섭외와 촬영을 마칠 수 있었다”며 그밖에도 “회사 안에서는 성덕이라고 불릴 만큼 개인적으로 만나고 싶었던 아티스트와 만날 기회가 많아졌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물론 요청이 들어온다고 다 응하는 것은 아니다. 셀레브의 이미지나 방향과 맞지 않으면 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앞으로의 활동에 대해 묻자 당분간은 현재 운영하는 채널과 시리즈에 집중한다는 계획이 돌아왔다. 시즌 사이의 텀이 길어 이를 메울 수 있는 콘텐츠나 조금 내려놓고 출연자가 재밌게 놀 수 있는 열린 콘텐츠를 고민하고는 있지만 당장 뚜렷한 기획이 나온 건 아니라는 것. 그밖에 이승훈 실장은 “넷플릭스를 통해 셀레브의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싶다”는 희망을 드러내기도 했다.

무엇보다 비슷한 포맷의 영상과 채널이 늘어난 만큼 차별화를 고민하고 있다는 말도 이어졌다. 김한솔 PD는 “인트로에 넣는 큼직한 자막과 해시태그 자막, 세로형 영상은 셀레브가 앞서서 시도한 것”이라며 “금방 이를 레퍼런스 삼아 비슷한 영상이 나오는 걸 보면 우리가 적어도 인터뷰 영상에 있어서는 하나의 기준이 된 것 같다”는 의견을 전했다. 최동주 PD도 “영상을 만들 때 레퍼런스를 따로 찾지 않는다. 포맷도 편집 방식도 전부 우리 방식대로 만든다”며 “레퍼런스가 있어도 이를 어떻게 변형하고 우리 스타일로 만들지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확고한 우리만의 스타일이 있어서 나중에 이를 참고한 다른 영상들을 보고 사람들이 ‘아, 이거 셀레브 방식이네’라고 떠올렸으면 좋겠다”는 것이 이들의 바램이다.